정치 대통령실

MB-재계, 31일 '공생발전' 회동… 대기업 총수들 '가시방석'

李대통령, 강한 발언 예상<br>재계 "어떻게 화답할까" 고심


31일로 예정된 이명박 대통령과 30대 그룹 총수와의 오찬간담회는 표면적으로 공생발전을 설명하는 자리지만 대기업 총수들에게는 가시방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이 8ㆍ15 경축사에서도 언급한 '탐욕경영' '자본의 책임' '부익부 빈익빈' 등은 재계에 대한 이 대통령의 요구수준이 더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일단 '공생발전'이 대기업 옥죄기로만 비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재계의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2일 몽골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은 "큰 기업과 작은 기업이 같이 발전해야 한다. 공생발전은 그냥 나눠주라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해 공생발전이 대기업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간접적으로 설명했다. 하지만 공생발전이 대기업만의 책임은 아니지만 대기업이 스스로 책임을 다하지 않고 있다는 점과 관련, 지난 두 차례의 동반성장 재계총수 회담 때보다 훨씬 강한 발언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여러 차례 공생발전의 밑거름인 동반성장에 대해 이 대통령이 직접 강조했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기 때문이다. 여기다 사회적 책임도 강조하고 있다. 19일 전국경제인엽합회 회장, 대한상의 회장이 참석한 제26차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이 대통령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시대가 요구하는 것"이라며 "재계 스스로 시대적 흐름을 참고하면 더 많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이 기업의 책임을 요구한 데 대해 재계는 어떻게 화답해야 할지 고심하고 있다. 특히 공생발전의 화두는 반기업 정서를 넘어 '따뜻한 자본주의'라는 거대담론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나름대로 공생발전 실천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며 "동반성장 정책을 공생발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한편 사회적 기업 육성, 사회복지 서비스 강화 등의 내용을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