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병완실장 '새 총리후보 인선' 문답

이병완(李炳浣) 청와대 비서실장은 24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열린우리당 한명숙(韓明淑) 의원을 새 총리로 지명했음을 발표하고 인선 배경 및 과정 등을 설명했다. 다음은 이 실장과의 문답 요지. 대통령이 마지막까지 고심한 것은. ▲그동안 언론에 제기된 지점에서 두분을 놓고 마지막까지 고심하셨다. 두분 모두 총리 역할을 수행하는데 모자람이 없지만, 기존에 제가 밝힌 부분도 있고 여론의흐름도 많이 감안하셨다. 이번 총리 인선 과정에서 대통령이 가장 고심한 부분은. ▲총리로서 얼마나 일을 잘할 수 있느냐였다. 그 부분은 개인적인 능력 뿐아니라 정치적 환경, 당.국회 협력관계 등도 연관돼 있다. 이런 것을 종합적으로 고려해결론을 내리신 것이다. 야당이 한 지명자의 당적 이탈을 강하게 요구하는데. ▲그와 관련해 오늘 별다른 논의나 언급은 없었다. 지명자가 생각을 가지고 계신다면 그 부분이 어떻게 될지 두고 봐야겠다. 한 지명자가 탈당하면 대통령은 수용하나. ▲한 지명자는 어떤 말씀도 안했다. 대통령과 한 지명자는 오찬에서 국정방향등에 대해 말씀했다. 대통령이 어제 국민과의 인터넷 대화에서 언급했던 내용들을중심으로 말씀했고, 한 지명자는 주로 들었다. 앞으로 당적 이탈 문제가 핫이슈가 될텐데. ▲지명자 판단이 중요하다. 지금 선거관리의 엄정성, 중립성, 공정성 등을 말하는 것 아니냐. 참여정부가 선거관리에 있어 편향성을 보인 적이 없다고 믿고 있고자부하고 있다. 이해찬(李海瓚) 전 총리는 분권형, 책임형 총리였는데, 신임 총리는. ▲분권형과 책임형 총리는 조금 다르다. 이 전 총리는 책임형 총리였다. 한 지명자도 책임형 총리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국정운영 시스템에 있어서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의 국정운영 방향 및 기조는. ▲이미 대통령이 국정운영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해 왔다. 대통령은 양극화해소,한.미 FTA 추진, 저출산.고령화사회 대비 등을 주요 국정과제로 생각하고 계신다. 또 경제의 경우 안정적 관리가 중요한 과제이다. 부동산 대책 등도 끊임없이 계속해 나가실 것이다. 새 총리도 이런 방향에 맞춰 내각을 통할하고 대통령을 보좌하는데 역점을 두실 것으로 안다. 총리 지명과 관련 앞으로 야당에 협조를 구할 의향은. ▲앞으로 기회가 생기면 그런 기회를 통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여야 대화라든지 국회 내에서 이뤄질 수 있는 부분은 국회 내에서 해나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명숙 총리체제'에서는 대통령이 일상적 국정에 좀더 신경을 쓸 것이라는전망이 있는데. ▲한 지명자는 여성.환경부 장관 등을 해오면서 상당한 평가를 받아왔다. 업무능력, 조직관리 등에서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총리직을 수행하면서도 국정운영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실 것으로 본다. 대통령이 어제 총리 인선과 관련 '소신대로 못하는게 정치'라고 했는데. ▲총리 지명 이상의 의지 표현이 어디 있겠느냐. 이번 인선에서 '왔다 갔다'하는 모습이 보여졌는데. ▲아니다. 처음에 4∼5명이 물망에 올랐고 그중 2명이 고사해 2명으로 압축됐다. 그 이후는 계속 고심하는 과정이었다. 한나라당은 김병준(金秉準) 정책실장을 선호하는 분위기였는데. ▲지명은 대통령이 하는 것이다. 언론 보도만 봐도 두분 모두에 대해 거세게 반대하는 것 같지 않더라. 두분에 대해 야당이 호의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고 있다. 오전 회의에서 참모들의 의견은. ▲다양한 언론 상황, 당 상황, 국회 상황, 저희들이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정보 등 종합적인 상황을 보고드리는 자리였다. 모임이 끝난 뒤 오전 10시께 대통령이'한명숙 의원님과 오찬을 같이 하겠다'는 뜻을 전달해 오셨다. 오전 모임에 김병준실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김병준 실장 지명시 '코드인사' 비판 여론을 의식했나. ▲한 지명자는 코드 아니냐.(한 지명자도 코드라는 의미로 반문) 열린우리당 정동영(鄭東泳) 의장이 14일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여성 총리를 건의했다고 하는데. ▲당시는 이 전 총리와 관련된 당의 의견을 전달하는 자리였다. 후임까지 논할상황은 아니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