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협 구조조정 했지만 부실 더 심화

내년 통폐합 대상 4곳 추가될 듯

정부가 일선 수협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섰으나 오히려 경영부실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최근 전국 97개 수협에 대한 경영평가를 실시한 결과 순자본 비율이 -20%에도 못 미친 이른바 ‘부실조합’이 14개에 달했다. 이는 수협 구조조정이 시작된 지난 2002년 9월 실사에서 나온 13개보다 1개 늘어난 것이다. 해양부는 지난해 말 부실조합 13개 가운데 3개를 통폐합하기로 결정하고 5개는 통폐합 유예, 5개는 회생 지원대상으로 각각 지정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 전남 완도수협 등 4개 조합이 부실조합으로 추가 편입됨에 따라 연말까지 경영상태가 나아지지 않으면 내년 중 다른 조합과의 통폐합이 불가피하다. 반면 당초 부실조합이었던 전남 부안조합 등 3개는 최근 순자본비율이 -20%를 상회함에 따라 ‘부실우려조합’으로 격상돼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지난해 통폐합이 유예된 5개 수협 가운데 일부는 최근 부실이 심화돼 내년에 퇴출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일부 통폐합 대상 수협이 해양부 결정에 반발하고 서ㆍ남해안 어민들이 정부의 불법어업 단속 강화에 항의하는 등 최근 ‘어정(魚政)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수협 구조조정에 난항이 예상된다. 해양부의 한 관계자는 “어획고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데다 지난해 태풍 ‘매미’까지 겹치면서 일선 수협의 경영상황이 더 나빠졌다”며 “일부 조합은 자구노력이 미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