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9월 14일] 상생협력 다짐한 대기업 총수들

이명박 대통령이 13일 대기업 총수 12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상생간담회를 갖고 중소기업과의 상생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힘있는 사람, 가진 쪽에서 따뜻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도 공정한 사회에 걸맞으냐, 공정한 거래냐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8일 중소기업 대표들과의 간담회에 이어 마련된 이번 간담회는 경영권을 쥐고 있는 총수가 나서지 않으면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점에서 상생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됐다는 지적이다. 실제 대기업 총수들은 이번 간담회에서 상생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동반성장을 위한 제도나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설 것임을 다짐함으로써 상생분위기 확산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미 최근 회의를 통해 30대 그룹의 올 투자 및 채용인원 규모를 당초 계획보다 크게 늘리기로 하는 등 상생과 양극화 해소에 적극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 등 몇몇 대기업들은 협력업체들을 위한 대규모 펀드조성 등을 통해 상생을 실천하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은 양극화 해소는 물론 우리 경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누차 지적하는 것이지만 상생은 어디까지나 자율적으로 추진될 때 성과를 거둘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강제적인 방법을 동원하기보다는 기업 스스로 상생에 나서도록 여건을 만들어주는 방향에서 추진돼야 한다. 그리고 오래된 관행을 바꾸기 어렵다는 점에서 단기간에 성과를 거두려 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점진적으로 추진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대기업 때문에 중소기업이 안 된다'는 식으로 대기업을 일방적으로 압박하는 것은 또 다른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양돼야 한다. 대기업들은 협력 중소기업들이 생존과 성장의 파트너라는 인식전환과 함께 공정한 거래관행을 위해 노력하고 중소기업들은 기술혁신 등을 통해 부품과 소재의 품질을 높여나갈 때 진정한 상생이 이뤄질 수 있다. 이 같은 상생협력이 우리 기업의 새로운 풍토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