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경 펀드 닥터] 주식형펀드 7주연속 상승세


긍정적인 경제지표와 연말랠리에 대한 기대감으로 국내 주식펀드가 7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중소형주 펀드가 두각을 나타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30일 기준가격(29일 운용분까지 반영)으로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주식성장형(약관상 주식투자상한 70%초과)은 한 주간 0.69%로 코스피 지수상승률(0.91%)을 밑도는 부진한 결과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대형주가 0.06% 상승에 그친 반면 중형주와 소형주는 각각 3.38%, 2.62%로 강세를 보이면서 대형주 편입비중이 높은 성장형 펀드가 악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주식투자 비중이 성장형보다 낮은 안전성장형(주식투자비중 41~70%)은 0.72%를 기록했다. 안정형(주식투자비중 10~40%)은 0.32%였다. 이 밖에 주로 코스피지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인덱스펀드는 주간 0.59%의 수익을 냈다. 채권펀드는 채권가격이 약세를 보이며 주간 수익률이 0.01%(연 0.52%)로 부진했다. 지급준비율 인상과 경제지표 우려로 채권금리가 상승으로 출발했으나 12월 양호한 수급전망에 따라 상승세가 둔화되며 채권가격은 약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국공채형은 연 -0.25%, 공사채형은 연 0.6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설정원본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이 1개월이 넘는 183개 성장형 펀드 가운데 60개 펀드만이 월간 코스피지수 상승률을 웃돌았다. 특히 10월 말부터 계속되는 중소형주 강세 덕분에 11월 한 달 중소형 펀드들이 대거 상위권을 휩쓸었다. 저평가돼 있는 가치주 스타일 펀드의 강세도 두드러졌다. 1개월 성과 1위를 차지한 ‘동양중소형고배당주식 1’은 편입주식이 모두 중ㆍ소형주로 구성돼 있으며, 가치주 비중은 94%로 최근 3개월간 급격히 수익이 개선됐다. 설정원본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이 1개월이 넘는 채권펀드 51개 가운데 겨우 5개 펀드만이 연환산 4%가 넘는 초라한 성적을 기록했다. 이는 11월 한달 간 지표금리인 국고채3년물 유통수익률이 0.15% 포인트 상승(가격 하락)했고 회사채BBB- 3년물 유통수익률도 0.15%포인트 상승하는 등 채권가격 약세로 변변한 이익을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11월 상위권 펀드는 잔존만기가 극히 짧고 저등급 채권의 보유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그 중 ‘랜드마크ECF단기유동성혼합 3 ClassA’는 보유 채권의 잔존만기 0.45년으로 가장 짧아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냈다. ‘흥국멀티플레이채권2’의 경우 잔존만기가 1.46년으로 상위 펀드 중 긴 편에 속했지만 보유채권의 신용등급이 BBB0로 낮아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한 주간 펀드수탁액은 전주보다 7,955억원 늘어난 총 204조 2,306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식형과 채권형 펀드는 전주대비 각각 4,396억원 4,815억원의 수탁액이 증가했으며, MMF를 제외한 전 유형에서 소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이수진 제로인 펀드애널리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