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불 밝힌 지방도시

지자체 “관광객유치·시민편의” 앞다퉈 야간조명 연출

인천시 옹진군 영흥면과 선재도를 연결하는 영흥대교가 야간조명을 받아 멋진 밤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위로부터 대전 엑스포다리, 대전 종합예술의 전당, 목포 고하도 용머리를 배경으로 한 야경.

저녁이면 깜깜한 어둠에 싸였던 지방도시들이 검은 장막을 벗어던지고 은은한 조명으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인천과 광주ㆍ대구ㆍ대전 등 대도시는 물론 전남 목포시와 충남 서산시 같은 소도시까지 야간조명 연출에 열중이다. 지자체들의 이 같은 야간조명 붐은 특색 있는 야경을 만들어 볼거리를 제공해 관광객 유치를 꾀하고 시민생활 편의에도 도움을 주기 위한 것. 빛의 도시로 탈바꿈을 선언한 광주시는 지난 2004년부터 현재까지 시청사ㆍ김대중컨벤션센터 등 공공 부문 11곳과 어등대교ㆍ유촌교 등 교량 3곳, 동부센트레빌 아파트 등 민간 부문 6개소에 대한 야경연출 사업을 마친 상태다. 광주시는 “야경연출로 도시가 밤에도 생동감 있고 활기찬 모습으로 바뀌는 등 밝은 측면이 많아 시민 볼거리 확보 측면에서 상무지구 내의 디오빌 오피스텔 등 27개소에 대한 야경연출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02년부터 야간조명 계획을 수립해온 인천시는 명실상부한 야간조명 사업의 선도 도시. 야경연출을 시작한 지 3년이 지난 현재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영종대교 등 3개의 대교를 비롯해 문학월드컵경기장ㆍ인천상륙작전기념관 등 모두 13개 건축물과 시 경계 조형물에 야간조명을 설치했다. 또 현재 용역 중인 ‘야간경관 조명기본계획’이 내년 6월 나오면 이를 토대로 종합적인 야간조명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93년 대전엑스포 당시 건립된 엑스포다리의 수려한 경관을 야간에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올해 2억9,000만원을 들여 야간조명 시설을 설치, 7월21일부터 운영 중이다. 인근 지역의 한밭수목원ㆍ엑스포과학공원 등과 연계돼 대전의 상징적 야간경관 명소로 부상하고 있다. 대구시의 경우 야간 도시경관 제고를 위해 2001년부터 관 16곳, 민간 38곳 등 모두 54곳에 야간조명이나 분수를 설치ㆍ운영하고 있다. 지방 소도시도 야간조명에 열심이다. 전남 목포시는 관광명소를 대상으로 야간조명 설치를 서두르고 있다. 시는 아름다운 일몰로 유명한 고하도와 목포항의 관문인 고하도 용머리 부근에 LED조명 54본을 설치한 데 이어 유달산 일등바위에도 야간조명을 설치해 야간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충남 서산시도 해미읍성 성곽과 진남문, 동ㆍ서문 등에 조명등 599개와 보행등 240개를 각각 설치할 계획이며 예산군 예당저수지 수문과 충효정ㆍ조각공원 등에도 경관조명을 설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