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장은 지금] 대구 수창공원 부지 개발 논란

KT&G·중구청- "일부 공원지역 해제상업·주거시설 조성"<br>시민단체·일부 시의원-"힘들게 확보한 땅에고밀도 개발은 특혜"


1만1,000여평에 이르는 대구 도심 수창공원 부지 활용방안이 지역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14일 대구시와 지역시민단체에 따르면 이 땅의 94%를 소유하고 있는 KT&G를 비롯한 대구시ㆍ중구청은 일부 공원지역 해제를 통한 상업ㆍ주거시설 건립 및 공원 조기조성을 주장하고 있으나 경실련 등 시민단체는 ‘특혜’라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12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수창공원 개발 관련 토론회에서 엄붕훈 대구가톨릭대 조경학과 교수(대구경실련 환경센터 운영위원)는 “금싸라기 같은 도심 공원부지를 해제해 초고층ㆍ고밀도 개발을 허용하는 엄청난 특혜”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일부 시의원들도 반대대열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강성호 대구시의원(경제교통위원장)도 “전임 시장이 대법원 판결까지 거쳐 어렵게 확보한 공원부지에 아직 한푼의 예산도 집행하지 않은 것은 의지 부족”이라며 “이 문제의 결정을 차기 시장에게 넘기라”고 주장했다. 시민단체등의 반발에도 불구, 대구시는 KT&G의 제안을 수용한 도시관리계획 변경(안)에 대해 최근 주민 열람을 거쳐 시의회 의견청취를 요청해 놓고 있으며 결과에 따라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한다는 방침이다. 정재원 중구청장은 “집창촌과 인접해 있는 수창공원 일원은 슬럼화로 인근 거주 주민이 1,100여명(545세대)에 불과하고 주변에 달성공원 등 이미 많은 공원이 조성돼 있는 곳”이라며 “공원부지 지정 자체가 잘못된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권대용 대구시 환경국장은 “연간 공원조성에 60~70억원 정도 투입되는 재정여건에서 700억원이 필요한 수창공원 조기 조성은 힘들고, 장기 미집행시설로 남을 수도 있다”며 “민자를 통해 적극적으로 공원을 조성하는 좋은 사례”라고 말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곳은 과거 연초제조창 터로 활용(현 KT&G 대구본부)되다 지난 1999년 근린공원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중구 수창동 일원 1만1,867평. 원칙대로라면 대구시는 이 부지를 모두 매입, 공원으로 조성해야 하나 그 동안 예산부족 등으로 전혀 진척이 없었다. 그러던 중 KT&G는 올 초 전체 공원부지 중 8,254평을 공원지역에서 해제해 주면 주변 사유지를 추가 매입, 6,294평에 이르는 공원(4,515평)ㆍ도로ㆍ노인복지시설을 직접 조성해 기부채납 하겠다고 시에 제안했다. 공원지역에서 해제된 부지에는 지상 57층 5개동, 1,100세대 규모의 주상복합건물을 짓는다는 것이 KT&G의 계획. 이에 대해 대구시는 앞으로 조성해야할 공원이 51곳(조성비 1조4,100억원)에 이르는 현실을 감안, 시비 투입 없이도 공원 조성이 가능한 KT&G의 제안에 대해 지난 7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