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광명 철산·하안주공 재건축단지 추가분담금 '진통'

정부의 재건축 규제가 가시화되면서 추가분담금 문제로 진통을 겪는 재건축 단지가 늘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관리처분총회가 통과됐거나 진행중인 광명 철산ㆍ하안주공 단지가 추가분담금 문제로 홍역을 앓고 있다. 이들 단지는 대우ㆍ삼성ㆍGSㆍ두산 등 내노라 하는 대형 주택 업체들이 모두 참여, 주목을 끌고 있는 곳. 지난 10일 관리처분총회를 통과한 철산 주공 3단지의 경우 11평형 조합원이 33평형에 입주하는 추가부담금이 평균 1억6,000만~1억7,000여 만원에 이른다. 철산 주공2단지 역시 지난 13일 관리처분총회에서 11평형 조합원의 33평형 입주 추가분담금을 1억4,700만~1억5,500여 만원으로 제시했다. 철산 주공 2단지 30평형대 조합원 분양가는 평당 1,100만원대로 같은 평형의 인근 분양권 시세보다 평당 100만원 정도 비싸다. 철산 주공3ㆍ하안본 2단지의 30평형대 조합원 분양가 역시 평당 1,100만~1,200만원 선으로 주변 시세를 웃돈다. 이 때문에 일부 조합원들은 추가분담금과 분양가가 비싸다며 반발하고 있다. 철산 주공2단지 조합원 윤모 씨는 “3년 전 창립총회 때 시공사가 제시했던 추가분담금이 1억원도 안됐는데 3년 새 5,000만원이나 올랐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시공사와 조합측은 추가분담금이 늘어난 원인이 용적률 감소와 임대아파트 건립 등으로 사업성이 악화됐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철산 주공 2단지는 당초 용적률 262.7%를 적용해 1,402가구를 지을 계획이었지만 최종 용적률이 254.16%로 감소해 건립 가구 수가 당초 계획보다 138가구 줄었다. 여기에 임대주택 의무건립 등의 규제도 적용돼 일반 분양 물량이 138가구에 불과하다. 시공사 관계자는 “일반분양 분이 줄어들수록 조합원 수입이 감소하고, 조합원 추가부담금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재건축 환경이 점점 나빠지면서 앞으로 추가분담금을 둘러싼 갈등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백준 J&K 사장은 “현행 규제에 더해 내년 7월부터 재건축 사업으로 가구 수가 늘어나는 단지는 기반시설부담금이 부과된다”며 “재건축의 실익이 줄어 아예 사업을 포기하는 곳도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