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中産 가짜 혈압약 밀수책 적발

40억원 상당 유통前 검거…제약업계 "소비자불신 확대 우려"

가짜 고혈압 치료제를 중국으로부터 국내에 공급한 밀수책 일당이 경찰에 적발됐다. 이에 따라 가짜약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제약업계도 약에 대한 불신으로 확대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서울 광진경찰서는 18일 아모디핀을 모방한 가짜 고혈압 치료제를 밀수해 포장 유통하려 한 혐의로 밀수책 Y씨(30ㆍ경비업체 대표)와 K씨(30ㆍ무직), 운반책 K씨(30) 등 3명을 구속했다. 경찰에 따르면 Y씨 등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 제조 허가를 받지 않고 지난 1월 중국에서 만든 가짜 고혈압 치료제를 들여와 동작구 대방동에 차린 공장에서 국내 유명 고혈압제와 똑같이 포장해 시중에 팔려고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보따리상들이 여객터미널을 이용함에 따라 짝퉁 낱알들이 근처 항구를 통해 밀수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통관에 문제가 없었는지 세관을 상대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3일 국내 공급책에 이어 이번에는 유통책을 검거한 것”이라며 "가짜약이 유통 이전에 적발된 것이 다행”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찰은 3일 의약품 도매상 등을 통해 시가 40억원 상당의 가짜 한미약품 고혈압 치료제 ‘아모디핀’ 약 2만개(1개당 500정)를 시중에 유통하려고 한 혐의로 모제약사 영업팀장인 K(34세)씨와 무직자인 J(44세)씨를 구속하고 이들에게 대포폰과 대포통장을 제공한 K씨 등 5명을 불구속 입건한 바 있다. 이처럼 실제로 가짜약이 중국에서 들여온 것이 확인되자 환자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국립과학수사연구소가 이번에 적발된 가짜 고혈압약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필수성분이 정품의 10%에도 못 미쳐 만약 이를 복용했을 경우 뇌졸중 유발 등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고혈압약을 먹고 있는 성북구의 최모(63)씨는 “내가 먹은 약과 똑같은 가짜약이 유통될 뻔했다는 소리를 듣고 약국에 전화를 걸어 정품 여부를 확인하기는 했지만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식약청은 국내에서는 전문 의약품의 유통관리가 체계적이고 단속도 튼실해 가짜약이 밀수되더라도 유통이 어려운 만큼 ‘후진국형’ 대형 사고가 터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식약청의 한 관계자는 "병원ㆍ약국에서 무자료 거래는 있을 수 없고 암시장에서 출처가 불확실한 전문의약품을 구입할 환자도 없어 가짜약의 수요 자체가 발생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고혈압약을 시판 중인 제약업체의 한 관계자는 "이번 가짜약 파문으로 고혈압약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으로 확대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한편 제약업계는 가짜약 근절을 위해 의약품 유통을 전담하고 있는 도매업체와의 유기적 협조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최근 열린 정기주총에서 가짜약 적발에 결정적 단서를 준 도매업체에 포상금을 지급하며 격려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