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철강제품 판매구조 악화

실수요가용 판매비중 줄어기계, 중공업, 건설업체등 실수요가에 판매되는 철강제품의 비중이 계속 줄어들고 있어 철강제품의 판매구조가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철강회사들의 총출하량은 5,364만1,000톤으로 99년의 4,940만1,000톤에 비해 8.6% 증가했으며 IMF(국제통화기금) 위기 이전의 최고치였던 97년의 5,051만톤을 소폭 웃도는 호조를 보였다. 출하구조는 내수판매가 76.5%, 수출이 23.5%였으며 내수판매는 실수요가용이 1,769만7,000t으로 43.2%, 유통부문용이 1,483만1,000톤으로 36.1%, 철강업 내부유통용이 849만9,000톤으로 20.7%를 각각 차지했다. 이 가운데 실수요가용 판매 비중은 97년 60.5%를 기록한후 98년 51.5%, 99년 52.3%로 낮아졌으며 작년에는 43.2%로 더욱 낮아졌다. 철강협회는 유통부문의 판매가가 상대적으로 낮아 이 부문의 점유율 증가는 철강회사들의 채산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강동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