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선거구제협상] 정기국회 넘길듯

여야 3당은 13일 총무회담을 열어 선거구제 협상을 벌였으나 자민련의 복합선거구제를 계속 고수했으며 한나라당의 「선거구제 TV토론과 언론문건 국정조사실시」라는 새로운 전제조건을 지난 12일에 이어 다시 제시하고 나섰다.이에따라 그동안 「소선거구제+권역별 정당명부제」를 타협안으로 제시한뒤 자민련측의 설득에 들어갔던 국민회의측은 협상이 원점으로 돌아가자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한나라당 이부영(李富榮) 총무는 이날 총무접촉에서 『여야간 선거구제 협상내용을 국민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공개적인 TV토론을 거쳐 국민여론의 이해를 구한후 선거법 협상을 계속해야 한다』며 『TV토론 및 「언론문건」 국정조사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않는 한 앞으로 선거법 협상을 진행시키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정형근(鄭炯根)의원 방탄임시국회를 열려는 협상 지연술』이라며 거부한뒤 한나라당측에게 이후 선거구제 협상의 계속 여부를 분명히 밝힐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여야간의 협상이 원만하더라도 정기국회내 처리는 어렵다는 것이 정가의 관측이다. 오는 18일로 끝나는 정기국회 회기가 4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국회 선거구획조정위원회를 소집, 선거구를 조정해야 하는 절차 등이 남아있어 선거법 협상이 회기내에 매듭되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자민련과의 여권내 조율도 문제다. 한나라당이 소선거구제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타협안을 제시한데 대해 국민회의와 자민련 등 여권 내부의 의견조율도 필요하기 때문에 선거법 협상의 회기내 타결전망이 매우 불투명하다. 한나라당보다도 자민련과 합의하는 것이 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자민련 박태준(朴泰俊) 총재는 이날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의 주례회동에서 여섯 차례나 중선거구제가 도입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이제는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면서 『마지막 힘을 다해 도·농 복합선거구제 반영을 위해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 지도부에 지시했다. 한편 국민회의 박상천(朴相千) 총무가 이날 오전 金대통령을 면담하고 지침을 받았으며 14일 이만섭(李萬燮) 총재권한대행의 청와대 주례당무보고때 다시 선거법 협상문제를 논의할 예정이어서 조만간 여권의 처리방침이 정해질 가능성이 높아 귀추가 주목된다. 장덕수기자DSJANG@SED.CO.KR

관련기사



장덕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