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이면서 우리 경제를 걱정하는 목소리 또한 이와 비례해 높아지고 있다. 수출 이외에는 어느 지표 하나 경기회복의 신호를 보여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치권의 민생외면은 `위기론`만 부채질할 뿐이다. 정치와 경제는 동전의 양면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인류가 공동체 생활을 시작한 이래 정치와 경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경제`라는 말부터 그렇다.
서양에서 `경제(economy)`는 그리스어로 `집`을 나타내는 `오이코스(oikos)`와 `관리`를 뜻하는 `노미아(nomia)`를 합친 `오이코노미아(oikonomia)`에서 나왔다. 집안살림을 관리하는 게 경제라는 것이다.
반면 동양에서 경제가 뜻하는 것은 사뭇 달랐다. `경제(經濟)`는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한다는 정치용어인 `경세제민(經世濟民)`에서 유래했다. 요즘의 경제에 해당하는 말은 `식화(食貨)`나 `이재(理財)` 정도가 있을 뿐이었다.
그러던 것이 19세기말 서세동점의 시기에 실학과 부국강병을 주장했던 일본의 학자인 후쿠자와 유키치가 `경세제민`을 `경제`로 줄여 부른 이래 대표적인 20세기의 용어로 자리잡은 것이다.
이런 현상은 학문 쪽도 마찬가지다. `경제학`은 원래 `정치경제학`이었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경제학자들이 정치경제학으로부터 `정치`를 떼어냈을 뿐이다. 경제가 정치에서 나왔다지만, 근대 이후 경제는 나라의 국운을 좌지우지하는 중대 요소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경제문제는 어느 나라에서나 가장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정치렌英맛岵?문제들이 모두 경제와 깊은 연관을 갖고 있다.
그래서 지난 70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폴 새뮤얼슨은 “단기적으로 보면 정치가 경제를 지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경제가 오히려 정치를 결정한다”고 말했다.
이번 정기국회에는 외국인투자촉진법, 한-칠레 FTA 비준 등 시급히 처리해야 할 굵직굵직한 사안이 상당수 대기하고 있다. 정치권의 분발을 기대해 본다.
<이석영(한국무역협회 상근부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