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제대혈로 뇌성마비 개선, 분당차병원 김민영 교수팀

제대혈(탯줄혈액)을 이용해 소아의 뇌성마비 증상을 개선시켰다는 국내 의료진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간 백혈병 등의 치료에 주로 사용됐던 제대혈 치료법이 뇌 질환에도 적용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분당차병원 재활의학과의 김민영 교수팀은 지난해 9월 뇌성마비 환아 2명(당시 나이 8개월, 32개월)을 대상으로 미리 보관해뒀던 자가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식한 뒤 7개월여를 추적 관찰한 결과 혼자 일어서기와 걷기 등의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6김 교수는 "당시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것과 동시에 줄기세포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적혈구 생성인자를 함께 주입했다"면서 "제대혈을 이용한 뇌성마비 치료 사례는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두 아이의 뇌 자가공명영상(MRI) 촬영 결과 뇌의 백질신경섬유가 많이 증가한 것이 관찰됐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그동안 백혈병 등 혈액암 관련 치료법으로 주목 받았던 제대혈 줄기세포치료법이 뇌성마비 등의 뇌ㆍ심혈관계 질환까지 범위가 확대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8개월된 아이의 경우 신생아 황달과 뇌실 주변의 백질연화증으로 생후 5개월째부터 입원치료를 받아왔지만 배밀이 등을 전혀 하지 못했으나 제대혈을 이식한 후 약 4주 만에 배밀이가 시작됐고 5개월째부터 무릎으로 기고, 잡고서는 모습이 관찰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32개월된 아이는 시술 전만 해도 앉은 자세를 만들어줘도 유지할 수 없고 옆으로 돌아눕기가 어려운 상태였지만 시술한 후 2주째부터 몸통 아래에서 팔을 스스로 빼냈으며 5개월째부터는 엄마 몸이나 소파에 기대 서 있기가 가능해졌다. 이번 치료성과는 지난해 11월 대한재활의학회에서 발표됐으며 조만간 국제학술지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