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11월 7일] '그랜드 바겐' 혹은 '그랜드 바'

SetSectionName(); [기자의 눈/11월 7일] '그랜드 바겐' 혹은 '그랜드 바' 홍병문기자 (정치부) hbm@sed.co.kr 한동안 잠잠했던 이명박 대통령의 대북 '그랜드 바겐(일괄 타결)' 정책 실효성 논란이 6일 국회에서 또다시 불거졌다. 이날 외교ㆍ통일ㆍ안보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야당 의원들은 "이 대통령의 그랜드 바겐 정책은 지금까지의 대북 정책 성과를 무너뜨리는 정책"이며 "국제적 망신을 자초한 개념"이라고 성토했다. 야당 의원들의 공세의 골격은 대북 정책에서 늘 한미 공조를 강조해왔던 정부가 정작 국제 무대에서 미국과 의견 조율도 미리 하지 못한 채 섣부르게 그랜드 바겐 개념을 꺼낸 것은 납득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손발이 맞지 않은 대북 외교정책 엇박자는 공교롭게도 이날 정운찬 국무총리와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의 답변 과정에서도 재연됐다. 정 총리는 그랜드 바겐과 미국의 포괄적 패키지의 차이가 무엇이냐는 김충조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그랜드 바겐 정책은 미국 정부의 포괄적 패키지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뒤이어 답변에 나선 유 장관은 묘하게도 다른 방향의 답변을 내놓았다. "방금 총리에게 '그랜드 바겐'에 관해 질문했는데 그랜드 바겐의 기본 구상은 북한이 시간을 끌면서 비핵화 과정을 지연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대통령의 '그랜드 바겐' 정책에 대해 정 총리는 미국의 기존 정책과 똑같은 방안이라고 한 반면 유 장관은 새로운 개념이라고 선언한 것이다. 정작 정부 안에서조차 명확한 의견 조율을 이루지 못한 그랜드 바겐 정책이 국제 무대에서 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것은 어쩐지 과욕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손발이 맞지 않는 그랜드 바겐 의견 조율에 대해 김 의원은 "6자 회담이 순조롭게 열릴 기미가 보이는 시점에 이 대통령의 그랜드 바겐(bargain)은 잘못하면 그랜드 바(barㆍ큰 장애물)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꼬집었다. 어쩐지 그냥 웃고 넘어갈 농담으로만 들리지는 않는 대목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