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인도에서 일등 신랑감은 현대 '상트로' 모는 남자"

■ 흔들리는 한국의 캐시카우<br>터버 쓰는 인도인 관습·취향 맞게 아토즈 디자인 바꿔 베스트셀러로


"인도에서 일등 신랑감은 현대 '상트로' 모는 남자" ■ 흔들리는 한국의 캐시카우터버 쓰는 인도인 관습·취향 맞게 아토즈 디자인 바꿔 베스트셀러로 관련기사 • "싼타페, 현대차 중 가장 뛰어나다" • 씨드, 유럽 판매 호조… 기아차 '예감좋다' • '점잖은 수입차' 시동만 걸면… • 아반떼-혼다 시빅 안전도 비교해봤더니… • 한고비 넘긴 현대차… 위기극복 탄력받나 • '1위 도요타' 비결은 발빠른 글로벌화 • "인도 일등 신랑감, 현대 '상토르' 모는 남자" • 현대·기아차 작년 손실 따져보니… • "기로에 선 '한국 車'… 향후 10년 중대 고배" • 中·日 거센협공… 車 산업 미래 '짙은 안갯속' • 최고 2,000만원! 차값도 '봄 바람' 났네~ • 현대·기아차에 유럽이 반했다 • 전기차·수소차… '첨단의 파티' • 인피니티, 2008년형 뉴 G 쿠페 공개 • BMW, 뉴3시리즈 컨버터블 국내 출시 外 ‘상트로 모는 남자가 일등 신랑감’ 요즘 인도에서는 결혼 적령기의 처녀들에게 상트로(국내명 아토즈)를 소유하고 있는 총각들이 단연 선망의 대상이다. 매끈한 디자인이 여심을 사로잡는데다 상트로를 굴릴 정도면 경제적 능력도 일단 검증됐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인도 현지에 ‘현대차 돌풍’을 몰고온 상트로의 폭발적인 인기를 실감하게 만드는 대목이다. 현대차는 지난 96년 인도에 공장을 지을 때만해도 생산차종으로 액센트를 염두에 뒀다. 하지만 직접 인도시장을 다녀본 결과 현지인들은 1,000cc 미만의 소형차를 원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결국 엑센트를 포기하고 아토즈를 최종 모델로 선택했다. 이 과정에서 한가지 문제가 생겼다. 아토즈의 뒷모습이 대표적인 저가차량이자 서민택시인 오토릭샤와 닮았다는 것. 이에 현대차는 인도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C-필라와 뒷문, 라디에이터 그릴 등을 새롭게 디자인했다. 터번을 쓰는 인도 소비자들을 위해 차량의 높이까지 조절했다. 이처럼 현지인의 취향과 소비성향, 사소한 관습까지 읽어내며 마음을 파고들 때 비로서 베스트셀러카가 탄생하기 마련이다. 정몽구 현대ㆍ·기아차 회장도 지난달말 인도 현지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비약적으로 커지는 인도시장을 선도하자면 현지 환경과 고객의 눈높이에 맞춘 맞춤형 차량 공급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차업체들이 세계 각국에 생산공장은 물론 연구개발(R&D)ㆍ디자인센터, 시험주행장까지 구축하는 것도 해당국 소비자들의 정서와 요구를 실시간으로 읽어내야 성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고급차로 업그레이드된 아반떼도 현지화를 통해 대박을 터뜨렸다.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인의 성향을 간파한 현대차는 아반떼XD에 사이드에어백ㆍ썬루프ㆍTCSㆍ후방경보장치 등의 각종 안전ㆍ편의장치를 추가하는 등 고급화 정책을 폈다. 이 같은 노력은 아반떼를 베이징 택시의 표준모델로 자리잡게 만들었다. 기아차가 지난 2002년 중국에 선보인 소형차 천리마는 ‘50대 영향력있는 차종’에 선정될 만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2003년 4만3,934대를 판매한 데 이어 2004년과 2005년에도 5만5,781대와 6만6,298대를 각각 팔아 치웠다. 기아차 관계자는 “천리마는 소형차에서도 고급스러운 옵션과 기능을 요구하는 중국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중국형으로 개발됐다”며 “현지화 모델은 현지 소비자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지난 99년부터 엑센트ㆍ그레이스 등을 생산한 터키 공장은 단순 조립라인이 아닌 자족형 공장이라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터키 대지진이나 외환위기 사태가 터져도 철수하지 않고 수출에 나선 것이 현지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줬다”며 “터키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진정한 형제국가의 대표기업 이미지로 자리매김했다”고 전했다. 릭 왜고너 GM 회장은 일찍이 “21세기 자동차회사는 글로벌 개발, 글로벌 구매, 글로벌 생산, 글로벌 판매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가 이제 세계적인 디자이너를 잇따라 영입하며 글로벌 맞춤형 디자인 구축에 나선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특별취재팀=정상범차장(팀장)·이규진·김현수·김상용기자 ssang@sed.co.kr 입력시간 : 2007/03/12 17:0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