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7월 11일] 물가안정 위해 원가절감 노력 강화해야

6월 중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환란 이후 최대폭인 10.5%에 이른 것은 앞으로 인플레이션 압박이 더 거세진다는 예고다. 생산자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앞으로 국민의 삶이 더 고달프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폭도 크지만 속도가 가파른 데도 문제가 있다. 지난 3월 6.0%, 4월 7.6%, 5월 9%로 경쟁이나 하듯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생산자물가는 앞으로도 이 같은 추세를 계속 이어갈 우려가 크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대비책이 요구된다. 물가상승의 주범인 고유가 등 각종 원자재값이 고공행진을 계속할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자원보유국은 70~80%의 가격인상을 가볍게 요구하는 ‘자원폭력’을 서슴지 않고 행사하고 있다. 생산자물가 상승은 소비자물가뿐만 아니라 기업경영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정부는 1일 물가안정과 민생안정에 초점을 맞춘 하반기 경제정책 운용계획을 마련했지만 전망은 어둡기만 하다. 시중에 돈은 넘쳐나는데도 금리를 쉽게 인상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5월 통화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5.8%나 불어나 물가를 압박하고 있다. 6월 물가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물가상승 압력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1.14%로 지난해 말보다 0.14포인트 높아졌다는 것은 원자재값 상승으로 기업경영이 어려워졌다는 것을 말해준다. 정부가 최근 ‘산업용 원자재 수급 안정화대책’을 마련해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이지만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금지원은 물론 원자재 비축물량을 늘려 적시에 이를 공급해 생산차질을 막고 생산원가 상승 요인을 최대한 억제해나가야 한다. 기업도 허리띠를 졸라매고 원가절감을 통해 고유가 충격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지금처럼 원자재값이 고공행진을 하는 상황에서는 정책만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정부와 기업 모두 위기의식을 갖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헤쳐나가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