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정책

서민들 한숨에도 정부는 느긋?

"제철채소 나오면 서서히 가격 안정될 것"

정부는 내심 9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 초반에 그쳐줄(?) 것을 원했다. 신선식품 물가가 많이 올랐지만, 다른 품목에서 이를 상쇄해줘 적어도 전체 상승률에서는 '폭등'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기를 바란 것이다. 하지만 결과는 고삐가 풀렸다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정부의 기대를 완전히 벗어났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무려 45.5%나 올랐다. 1990년 통계가 나온 이후 이런 상승 폭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상기온으로 피해가 컸던 신선채소는 전년 동월대비 84.5%나 폭등했고 신선과실과 신선어개는 각각 25.8%, 13.7% 뛰었다. 물가 당국의 존재 자체를 무색하게 하는 수치다. 채소류를 중심으로 먹을거리 물가가 급등한 것은 고랭지 채소 출하철이 됐지만 8월 폭염과 9월의 잦은 기우 등 이상기온과 태풍 곤파스의 영향으로 채소 작황이 차질을 빚으면서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이상기온 여파로 채소류 26개 품목 중 11개 품목이 전년 동월대비 100% 이상 급등할 정도 작황이 사상 최악이었다. 배추 생산량은 평년대비 40% 가량 감소했고, 호박도 일조시간 부족으로 생산량이 예년의 40∼50% 수준에 그쳤다. 파는 곤파스의 영향으로 경기도 물량의 50% 정도가 피해를 입었고, 상추는 생육기간인 8월 고온현상으로 생산량이 급감했다. 결국 채소류 급등으로 전체 소비자물가도 상승하는 악영향이 이어졌다. 채소류 26개 품목의 전체 소비자물가 기여도가 0.78%포인트로 채소류가 물가 상승의 70% 이상을 기여한 셈이다. 정부는 이런 현실에도 여전히 낙관적인 모습이다. 일시적 기상 악화로 인한 작황 부진에 불과해 날씨가 좋아지고 제철 채소가 나오면 서서히 안정될 것이라는 얘기다. 일반 국민 입장에서는 한가한 느낌마저 풍긴다. 소비자물가도 3%대 초반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윤종원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이상기온에 따라 일시적으로 작황이 안 좋아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라가면서 물가가 급등한 것"이라면서 "조만간 제철 채소가 나오면 물가가 서서히 내려가겠지만 다만 10월부터는 기저 효과가 없어져 3%대 초반 물가상승률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