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하나금융, 토종은행론 정면 비판

"혹세무민식 퇴행적 감성 자극"

하나금융그룹 계열연구소가 황영기 우리은행장이 제기한 '토종은행'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17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토종은행론 비판'이란 내부 보고서에서 "황 행장의 토종은행론은 '홍보를 위한 쇼(publicitystunt)'로 치부하기에는 도가 지나쳐 이성적 답변이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하나연구소는 "혹세무민식 퇴행적 감성을 자극, 금융산업의 시장질서와 규율을 교란할 징후가 있고 개별은행의 이익을 위해서는 국민경제의 안전성을 해칠 수 있는 위험한 모험을 감행하고 있다"고 혹평했다. 연구소는 '한국인경영=국내지분 과반수 이상'이란 황 행장의 토종은행 개념과 관련, "토종은행 기준은 경영권과 경영진의 국적 여부가 돼야 한다"며 "금감원 분류도 외국 지분이 절반을 넘어도 경영권이 내국인에 있으면 내국계 은행으로 구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자본 해외유출 주장과 관련, "영업수익 대부분은 종업원 임금 등 영업비용으로 충당되고 10% 정도가 영업이익으로 남는데, 이것도 재투자를 위한 사내유보 후에 주주에게 배당되기 때문에 외국으로 나가는 것은 극히 일부분"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수익의 외국유출이 우려된다면 우리은행은 왜 외국지분 11.5%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느냐"며 "예금보험공사 지분을 제외한 실제 유통주식만으로 계산할 경우 우리은행의 외국지분은 52.2%로 준외국기업"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이어 "자본의 국적논쟁은 개방화 자체가 잘못됐다는 것은 우리경제 구조를 근본적으로 부인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황영기 우리은행장은 이날 우리PE 개소식에 참석, “하나연구소의 토종은행론 반박 논리에 당장 대응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인 경영자가 CEO를 맡고 있는 은행중 국민은행은 외국지분이 86.01%, 하나금융지주는 72.70%, 신한은행 및 조흥은행이 속한 신한금융지주는 60.06%에 이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