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대 대통령 선거(12월19일)가 2일로 2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대선 흐름은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등 한나라당 주자들이 선두를 달리고있는 반면 범여권은 뚜렷한 후보마저 없는 이례적인 국면이다.
하지만 이 구도로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게 대체적 분석이다. 머지않아 한나라당 후보와 필적할만한 범여권 주자가 부상할 것이며 대선에 큰 영향을 줄 각종 변수가 돌출할 것으로 보인다.
◇남북 정상회담= 이번 대선에서는 어느 때보다 '북한 변수'가 강력하게 작용할 것이다. 지난 2월 6자회담 후 동북아 정세가 평화 무드로 접어들고 있고 북미간 평화협정 및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
정상회담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남북통일 분위기가 무르익을 경우 일차적으로 대북 유화정책을 내세워 온 범여권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확률이 높다. 더구나 '경제 대통령' 국면이 '통일 대통령' 쪽으로 바뀌어 대선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한나라당이 이점을 크게 우려하고있다.
◇한나라당 경선 후유증= 지난 2002년 대선에 비해 올해 대선 레이스의 특징은 한나라당 주자들이 지지율 1,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의 경선 결과가 본선의 첫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양측의 공방은 경선 내내 격화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어느 한 쪽이 승리해 후보가 되면 다른 쪽은 단독 출마는 못하더라도 후보의 선거 운동에 비협조적이거나 심할 경우 '후보 흔들기'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전체 대선 판도에 적잖은 영향이 예상된다.
◇전ㆍ현직 대통령 영향력=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대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노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일부는 여전히 지역주의 타파 등을 내세우고 있다. 열린우리당 탈당파와 민주당 등은 대통합을 우선해야 한다는 주장이며, 김 전 대통령이 끊임없는 '정치 메시지'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결국 대립이 본선까지 이어질 경우 범여권에선 복수의 대선 후보가 출마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양측이 통합에 성공할 경우 '평화개혁세력'의 후보 단일화 효과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