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미FTA 美의회 조속비준을"

부시 대통령 마지막 국정연설 "남은 임기 경제 살리기에 총력"<br>'북한' 언급없어 대북 유화정책 재확인 한셈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28일 밤(현지시간) “미국 경제 둔화가 뚜렷해 우려된다”며 “경제가 침체에 빠져드는 것을 막기 위해 남은 임기 중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ㆍ파나마ㆍ콜롬비아 등 3개국과 맺은 자유무역협정(FTA)을 신속히 비준해줄 것을 의회에 강력히 촉구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미 의회에서 가진 마지막 국정연설에서 “많은 미국인들이 집값 하락과 실업률 증가,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 상승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미국 경제가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부양책과 관련해 “공화ㆍ민주 양당이 합의한 1,500억달러 상당의 세금감면을 비롯한 경기부양책을 의회에서 신속히 처리해주기 바란다”며 “세금인상 법안 등 경기부양을 막는 어떤 시도도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관련법안에 대해서는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FTA에 대해 “이들 3개국에서 만들어진 많은 제품들이 미국에 관세 없이 들어오고 있지만 많은 미국산 제품들은 이들 나라 시장에서 높은 관세의 벽에 부딪혀 있다”면서 “FTA로 국가 간 무역이 공평해지고 미국인들이 좋은 일자리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며 FTA 비준을 호소했다. 부시 대통령은 또 교착상태에 빠진 도하라운드 협상 재개와 타결을 촉구했다. 부시 대통령은 “미 경제성장은 미국산 제품과 곡물ㆍ서비스를 세계에 팔 수 있는 능력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무역과 투자의 장벽을 무너뜨리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올해 국정연설에서 북한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아 최근 유화적인 입장으로 선회한 대북 정책관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부시 대통령은 지난 2002년 두번째 임기 첫 국정연설에서 북한을 이란ㆍ이라크 등과 함께 ‘악의 축’으로 규정해 파문을 일으켰다.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 전쟁과 관련해 이라크 주둔 미군을 증강함으로써 이라크의 안정에 기여했다고 평가했으나 미군의 조속한 철군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이란 핵 문제에 대해서는 우라늄 농축과 테러활동 지원을 중지하라고 촉구하면서도 “검증 가능한 방법으로 핵 농축을 중단하면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