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최초 여성 총리에 기대 크다

한명숙 열린우리당 의원이 새 총리로 지명됐다. 한 총리 지명자는 국회 청문회와 인준 표결을 통과하면 헌정사상 첫 여성 총리라는 영예를 안게 된다. 참여정부 들어서는 고건ㆍ이해찬 총리에 이어 세번째 총리로 노무현 대통령의 남은 임기를 전부 또는 거의 대부분 같이 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여정부 마무리 총리의 성격이 짙다는 점에서 섬세한 여성 총리의 수습 및 조정 솜씨에 기대를 갖지 않을 수 없다. 새 총리에 여성이 지명된 것은 정치적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첫 여성 총리라는 프리미엄이 5ㆍ31지방선거 때 여성표 공략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정치적 분석이 ‘코드 인사’를 제친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지방선거의 중립적 관리를 위해 당적을 이탈해야 한다고 칼날을 세우고 있지만 여성가족부와 환경부 장관을 거쳐 행정경험이 있는데다 성품도 원만해 무난한 인선이라는 것이 일반적 평가다. 새 총리는 역할 정립부터 새로 해야 한다. 분권형 총리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던 전임 총리는 위압적이라는 인상을 남겼다. 국정에서도 조정과 조화보다는 지시하고 통제하는 성격이 강했다. 이 때문에 각 분야의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각 부처 장관의 모습이 총리의 그늘에 가려 잘 보이지 않았다. 국민은 더 이상 군림하는 총리를 원하지 않는다. 한 총리는 조정을 중시하는 조화의 정치로 내각을 이끌어야 한다. 무엇보다 경제각료가 제 역할을 제대로 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민생경제에 관심을 가져달라는 이야기다. 현재 경제는 침체기를 벗어나 소생의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원고ㆍ고유가 등으로 수출이 주춤하고 있다. 부동산 문제,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 청년실업 등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도 앞두고 있어 빈틈없는 준비가 필요하다. 정부는 양극화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기업의 투자가 활성화돼 일자리가 창출되고 소비가 느는 경제의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으면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규제를 과감히 철폐해 기업이 일할 맛 나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장바구니를 챙기는 주부의 마음으로 민생경제를 챙기는 총리가 되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