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카드사 경영정상화 박차 2題

수수료 "차등적용"…틈새상품 개발 주력

경영위기를 겪었던 카드사들이 원가절감을 위한 가맹점 수수료 개편작업과 함께 신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소비위축이 장기화됨에 따라 카드사 경영정상화 속도가 더뎌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카드사는 논란이 되고 있는 가맹점 수수료 문제 해결을 위해 수수료체제 개편작업에 착수했다. 그동안 동일하게 부과됐던 수수료를 원가에 따라 차등 부과한다는 것이다. 외형 신장을 위한 신상품 개발에도 가속도가 붙었다. 초단기 카드론 등의 발매에 이어 도매할부금융 상품도 속속 개발하고 있다. 비씨카드, 가맹점별로 이르면 내년초부터…LG·KB카드도 업체별 원가분석 작업나서 카드사들이 가장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수수료체계 개편작업. 카드사들은 그동안 가맹점의 매출규모나 대손비용 등과 상관없이 업종별로 수수료를 동일하게 부과해왔으나 앞으로는 개별 업체별로 수수료를 차등 적용할 방침이다. 1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비씨카드는 빠르면 내년초부터 가맹점별 개별원가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 적용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비씨카드는 작년 12월부터 220만개의 전체 가맹점에 대해 개별 원가산출 작업을 벌이고 있다. 또 개별 가맹점별 원가산정도 경제상황 등에 따라 6개월 또는 1년 주기로 다시 실시해 시기별로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비씨카드 관계자는 “현재의 업종별 수수료 부과 체제하에서는 합리적인 수수료 부과가 어렵다”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향후 2~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업체별 수수료 부과 시스템을 적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LG카드도 개별 가맹점별로 수수료를 차등 적용하기 위해 원가분석 작업을 벌이고 있다. LG카드는 빠르면 9월부터 평균보다 낮은 수수료를 적용받았거나 리스크(위험)가 큰 가맹점부터 원가분석을 토대로 수수료를 차등 적용한 뒤 단계적으로 차등수수료제를 확대할 방침이다. 국민은행의 KB카드도 가맹점의 신용평점과 이용회원의 매출형태 등을 고려해 업체별로 수수료를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카드는 업종별 수수료 적용 체제는 유지하되 같은 업종내에서도 매출규모와 손실률 등을 따져 수수료를 차별화한다는 계획이다. 새수익원 확보위해 도매할부금융 진출이어 단기 카드론·신규 할부·리스상품 잇달아 선봬 카드업계는 수수료체계 개편과 함께 새로운 수익원 확보를 위한 틈새상품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연체율 증가 등으로 인해 위축됐던 카드사의 영업이 다시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신용판매와 현금서비스에 주력했던 카드사들은 최근 도매할부금융 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단기카드론과 신규 할부ㆍ리스상품 개발 등 새로운 수익사업 개발에 나섰다. 이와 함께 기존 법인고객을 흡수하기 위해 새로운 개념의 카드상품을 제공하는 등 틈새시장 공략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삼성카드는 최근 아파트 빌트인 가전시장을 겨냥해 '도매할부금융'시장에 진출했으며 개인병원 대상 의료기기 리스상품인 '닥터리스'와 덤프트럭 손실보장 보험과 연계한 할부상품을 출시했다. 삼성카드는 지난 2월부터 2개월 만기의 초단기 카드론인 '원투론'과 '초단기론'을 내놓은데 이어 6월에는 우량고객을 대상으로 월 결제 금액의 10~100%을 선택할 수 있는 리볼빙 결제(회전결제)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LG카드는 이달들어 다양한 상환방식을 적용한 'LG 프리론'과 상환실적에 따라 이자율을 최고 3%까지 할인해주는 'LG 디스카운트론'을 적극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월별 상환금액을 고객이 직접 지정하는 보너스 상환 방식까지 도입, 고객의 선택폭을 넓혔다. 유석렬 삼성카드 사장은 이와 관련, "신용판매와 현금서비스의 단순한 수익구조에서 보다 선진화된 상품으로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만들어가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도 사원들의 복지혜택을 법인카드로 지원하는 사원복지카드에 대한 특허를 최근 취득함에 따라 공격적인 영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사원복지카드가 연체율은 낮고 이용액은 큰 법인카드의 새로운 틈새시장으로 부각될 것"이라며 "현재 발급중인 포스코ㆍKT&Gㆍ대한주택공사 등 10여개 기업체외에 대기업과 공사를 중심으로 제휴를 늘려나갈 방침"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