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의회 긴급대응권 승인키로

■ 보복 공격 준비 어떻게 돼가나체니 예비조치따라 캠프데이비드 이동 미국은 13일 사상초유의 미 본토 테러에 대한 응징을 위해 본격적인 전시태세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핫라인인 조지 W. 부시 대통령, 딕 체니 부통령, 도널드 럼스펠드 국방장관의 움직임도 신속해 지고 있다. 조지 W.부시 대통령은 이날 회견에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전쟁을 승리로 이끌 것이며, 우리를 향해 선포된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결의는 확고하고 강력하다"고 밝히며 대(對) 테러리즘 전쟁의 승리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했다. 이에 앞서 부시 대통령은 헌법에 보장된 비상시 긴급 대응권을 의회에 요청하면서 개전을 선포했다. 부시 대통령은 또 실무진들에게 이번 사태의 중요성을 각인 시키면서 사기를 돋우고 있고, 대국민 담화 등으로 국민들의 애국심 고양을 호소하고 있다. 딕 체니 부통령은 '예비적인 조치'에 따라 대통령 별장인 메릴랜드의 캠프 데이비드로 이동했다. 워싱턴의 군사분석가들은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 출신 테러리스트 오사마 빈 라덴과 그의 후견인격인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선전포고를 앞두고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대통령과 부통령을 '안전 거리'에 떼어 놓은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번 테러를 맞아 단합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미 의회도 대통령의 군사동원 요청을 승인하기로 했으며, 테러 공격에 따른 피해 복구 비용으로 즉각 200억달러를 방출하기로 원칙적으로 동의했다. 이와 함께 미 의회는 앞으로도 여야 단결을 통해 "미국인이 단결돼 있다는 강력한 신호를 세계에 보낼 것"이라고 강조, 대통령의 군사행동에 힘을 실어줬다. 이번 공격의 실무 총책임 격인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은 "사전경고 없이 테러집단을 군사적으로 응징할 수 있다"고 밝혀 선전포고가 전격적으로 이뤄질 수 있음을 내비쳤다. 럼스펠드 장관은 합참ㆍ국방부 전략가ㆍ유럽 및 .중동 지역사령부의 군 고위 간부들과 이날 잇따라 협의를 갖고 인도양과 유럽사령부를 비롯한 전세계 미군의 신속배치 및 전투기 편대 긴급발진 전략을 점검했다. 또 럼스펠드 장관은 예비군에 대해 비상동원 명령을 대통령에 요청한 것으로 로이터 통신이 12일 보도했다. 럼스펠드는 개전시 발생할 지도 모를 미국내 새로운 테러에 대비해 이들을 주요 도시의 현역 부대에 배속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법률은 비상사태 발생시 최고 100만명의 예비군을 최고 24개월까지 현역으로 소집할 수 있는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미국은 현 대통령의 아버지인 조지 부시 대통령 때인 지난 1991년 1월 걸프 전쟁 발발 당시 26만3,322명의 예비군 및 국가방위군을 현역 소집했었다. 이와 함께 외교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콜린 파월 국무 장관은 라덴이 은신하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의 인접국 파키스탄에 국경을 봉쇄하고 영공 통과를 허용해줄 것을 요청하는 등 공습과 관련된 외교적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장순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