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경 펀드 닥터] 중소형주 펀드 3주연속 상위권


주중 북한의 6자 회담 복귀 합의소식에 투자심리가 회복되면서 주식펀드 수익률이 3주 연속 상승했다. 중소형주 펀드는 3주 연속 상위권을 기록하며, 북핵사태 이전수준을 회복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3일 아침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한 주간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주식성장형(약관상 주식투자상한 70%초과)은 한 주 동안 0.77%를 기록했다. 또한 주식투자 비중이 성장형보다 낮은 안성형(주식투자비중 41~70%)은 0.78%, 안정형(주식투자비중 10~40%)은 0.36%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이외에 주로 코스피지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인덱스 펀드는 주간 0.26%의 수익률로 성장형보다 부진했다. 채권펀드는 0.11%(연 5.73%) 수익을 냈다. 세부 유형별로 살펴 보면 국공채형은 한 주간 0.10%(연 5.24%), 공사채형은 0.11%(연 5.4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채권펀드의 양호한 성과는 주중 단기금리보다 장기금리가 더 하락하며 지난 주에 해소됐던 장단기 금리 역전현상이 재차 나타나는 등 채권시장이 강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유채권의 신용등급보다 잔존만기가 펀드수익률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설정원본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이 1개월이 넘는 181개 성장형 펀드 가운데 71개 펀드가 주간 코스피시장 수익률을 웃도는 성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주 상위권 펀드들은 중소형주 비중이 높은 펀드들이 차지했다. 이는 한 주간 코스닥 지수 수익률이 1.38%로 대형주 비중이 높은 코스피 지수(0.73%)보다 선전했기 때문이다. 시가총액규모에 따른 지수 수익률의 경우 같은 기간 대형주 지수는 0.40%를 기록한 반면 중형주와 소형주는 각각 3.32%, 1.31%로 비교우위를 나타냈다. 성장형 펀드 중 ‘한국밸류10년투자주식1’이 주간 3.31% 이익을 내며 주간 성과 1위를 차지했다. 이 펀드가 보유중인 삼천리(7.48%), SK가스(9.31%), 진로발효(2.96%)등의 중소형주가 선전하면서 좋은 성과를 냈다. 배당주 관련 투자 펀드들도 2주 연속 상위 Top10에 포함됐으나, 전주와 금주 상위펀드는 서로 달랐다. 이는 같은 배당관련 투자 펀드라도 투자종목이나 전략에 따라 성과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설정원본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이 1개월이 넘는 채권펀드 55개 가운데 13개가 유형평균 수익률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Tomorrow장기우량채권K-1ClassA’가 주간 0.17%로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 상위권 채권펀드는 대체로 신용도가 높고 잔존만기가 긴 채권을 보유한 펀드들이었다. 이는 같은 기간 국고채1년물은 보합세를 나타낸 반면 국고채3년물은 0.03%포인트 하락하면서 잔존만기가 긴 펀드들이 채권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에 좀더 유리했기 때문이다. 한편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한 주간 증권 및 단기금융 펀드의 수탁액은 전주대비 3조5,679억원이 증가한 202조 2,787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주 증권 및 단기금융펀드 수탁액은 주식형 펀드와 MMF가 각각 1조1,015억원, 1조8,955억원으로 비교적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전체 수탁액 증가를 이끌었다. 그러나 주중 주식형 펀드의 경우, 결산 재투자액 8,644억원이 포함돼 있어 이를 제외한 순증가액은 2,151억원으로 추정된다. /이수진 제로인 펀드 애널리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