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특파원 칼럼/11월 24일] 벤 버냉키의 올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벤 버냉키 의장이 전면에 나섰다. 그는 지난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유럽중앙은행 주최 콘퍼런스에서 경기부양을 위한 국채매입을 ‘양적완화’로 부르지 말아달라고 했다. 양적완화에 대한 비판의 초점이 되고 달러가치의 평가절하와 관련, 국채매입은 금리인하와 유사한 정책적 효과를 낼 뿐 환율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고 반박했다. 그리고 자국의 통화 가치를 낮게 유지하면서 자국 경제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의 안정에도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며 중국과 신흥국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특히 중국에 대해서는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리느라 2조6,000억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고를 갖게 됐다며 무역불균형이나 자국경제 안정을 생각하지 않는 수출주도형 성장은 결국에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며 직설적인 비난도 서슴지 않았다. 앞서 그는 미 상원금융위원회 의원들을 만나 양적완화를 통해 7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채매입으로 유동성이 확대되면 장기금리를 낮추고 기업들의 투자를 유인해 고용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다. 버냉키 의장이 중앙은행 수장의 발언으로는 적절하지 않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직접적으로 양적완화를 옹호하고 중국에 대해 비난을 제기하고 나선 것은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양적완화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등에서 제기된 중국이나 독일의 비판에 이어 미국 내에서도 양적완화에 대한 효용성과 결정 과정에서 판단이 현명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2차 양적완화는 1조7,000억달러의 1차 양적완화에 대한 검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됐다. 또 FRB의 국채를 사들이자마자 금리가 기대와는 정반대로 뛰어오르면서 비난여론에 기름을 끼얹었다. 공화당은 아예 오는 2012년 대선까지 양적완화 이슈를 끌고 갈 작정이다. 공화당 계열의 이코노미스트들에 이어 공화당 지도부까지 비판대열에 가세했다. 차기 대선 후보로 꼽히는 세라 페일린 전 알래스카 주지사는 양적완화를 ‘6,000억달러를 허공에 날리는 실험’이라고 표현했다. 무대전면으로 나온 버냉키 의장이 쏟아지는 비난을 잠재우고 양적완화 정책을 끝까지 실행에 옮길 수 있을까. 대답은 여전히 미지수다. 지난 1987년, 지금과는 반대로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금리인상을 밀어 부쳤던 폴 볼커 전 FRB 의장이 결국 내부의 반발과 비판적인 여론에 중도하차 했던 것과 결부시켜 버냉키 의장도 이 문제로 인해 자리에서 물러날 수도 있다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