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이 더 낫다”…해외이민 급감

지난해 처음으로 해외이주 신고 1,000명선 아래로


1962년부터 통계를 작성한 이후 지난해 처음으로 해외 이주(이민)를 신고한 국민이 1,000명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외교통상부의 ‘2011년 외교백서’ 등에 따르면 2010년 한 해 동안 해외이주를 신고한 국민 수는 전년(1,153명)보다 22% 감소한 899명을 기록했다. 연도별로는 통계를 처음 작성한 1962년 386명을 기록한 이후 해외 이주 신고는 매년 급증, 1976년 4만6,533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이후에도 2000년대 초반까지 ‘코리아 엑서더스’는 계속돼 연간 1만명 이상이 삶의 터전을 국내에서 해외로 옮겼다. 그러다 2003년 9,509명을 기록, 처음으로 신고자수 1만명대가 깨진 뒤 2005년 8,277명, 2006년 5,177명, 2007년 4,127명, 2008년 2,293명, 2009년 1,153명, 지난해 899명으로 줄었다.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도 안 되는 기간에 90%나 감소한 것이다. 반면 이 기간 외국으로 이주했던 재외동포의 영주귀국은 2,962명(2003년)에서 4,199명(2010년)으로 41.7%나 증가했다. ‘코리아 엑서더스’의 급감과 해외 이주민의 역(逆)이주 현상은 우리나라의 경제력ㆍ국력이 향상된 반면 글로벌 경제위기 등의 이유로 미국 등의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서 한국과 선진국 간 격차가 상당 부분 해소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