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로봇혁명/산업용 로봇] 국내현황

이중 수평단관절 로봇과 수직다관절 로봇은 전년대비 5.1%, 17,2%가 감소했고 직교좌표형 로봇은 무려 50.7%가 감소했다.관세청의 「무역통계연보」에 의하면 97년 국내 산업용 로봇 수출액은 780만1,000달러로 전년대비 34.9% 감소했다. 용도별 구성비를 보면 기타 산업용 로봇이 가장 많은 55.5%를 차지하고 있고 스폿용접용 로봇이 21.1%, 기타 아크용접용 로봇이 17.7%, 교류 아크용접용 로봇이 4.9%를 각각 점유했다. 지역별 수출액 구성비를 보면 영국이 가장 많은 285만8,000달러로 36.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말레이지아 25.5%, 중국 12.2%, 인도 5.2%등 아시아 국가에 전체의 54.4%를 수출했다. 수입액은 96년 대비 27.99% 감소한 8,214만2,000달러로 90년대 들어 첫 감소를 보였다. 이는 국내 자동차 산업을 비롯, 전기·전자산업 등 주요 산업의 설비투자 감소 때문이었다. 수입액을 용도별 구성비로 보면 기타 산업용로봇이 가장 많은 43.8%를 점유했고 스폿 용접용 로봇이 34.7%, 교류 아크용접용 로봇이 10.9%를 각각 점유하고 있다. 국별 구성비를 보면 일본이 가장 많은 5,980만달러로 72.8%를 차지했으며 독일 12.2%, 스웨덴 5.5%, 미국 2.9% 등으로 대부분 선진국으로 부터 수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