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3자매각 수순의심… 강력반발/채권단 최종결정 내달6일로… 기아반응

◎“법정관리땐 한국자동차 산업 파국”/「조건없는 화의」가 최선책 거듭강조/생산차질-부품업체 도산 최악상황 우려기아그룹은 오는 10월6일까지 유례없이 긴 열흘을 보내게 됐다. 기아는 26일 채권단이 『법정관리가 바람직하다』는 결정을 내림으로써 앞으로 10일간 사운을 건 결단을 해야 한다. 기아 경영진은 현재 『법정관리는 협력업체의 연쇄도산, 노조와 임직원의 반발, 현대·대우등 다른 업체의 생산차질등으로 「한국 자동차산업의 파국」을 가져오는 악수다』면서 『화의는 피해최소화를 위한 유일한 방안이다』고 기존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노조는 이날 상오 10시부터 광명시 소하리 공장에서 하루종일 비상대의원대회를 열고 「29일부터 무기한 파업」을 결정했다. 이제 기아사태는 정부·채권단 및 기아간의 「기싸움」에서 생산차질­부품업체 도산 등 최악의 「현실상황」으로 전개되게 됐다. ◇강경한 노조=29일부터 전면파업을 결정한 노조에는 생산직을 비롯 관리직까지 포함, 사실상 기아자동차 전체의 마비를 뜻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계열사들도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노조의 이같은 강경입장은 채권단이 오는 10월6일까지 법정관리를 유보했지만 결과는 달라질게 없다는 결론에서 나온 것. 기아 노조는 정부와 채권단이 추진하는 법정관리 방침을 시나리오에 따른 제3자 매각의 수순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결과가 같을 바에야 공세입장을 유지, 상황반전을 꾀하는 「최후의 수순」을 밟기로 한 것. ◇당혹스러워 하는 경영진=기아 경영진은 채권단의 결정에 대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화의』라는 기존입장을 재확인한 가운데 노조가 파업결정을 하자 매우 당황해 하는 표정. 기아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추진해온 대응전략을 수정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아는 「김선홍회장의 사퇴」를 「최후의 카드」로 생각하고 이에 앞서 기아회생을 위한 최선의 조건을 끌어낸다는 방침이었는데 이제는 큰 의미가 없어져 버린 것. 노조의 파업사태를 진정시키는 길은 두가지. 하나는 채권단이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나 현실성이 없다. 다른 하나는 경영진이 나서서 설득이든, 공권력 투입이든 노조의 뜻을 바꾸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기아노조의 강성기조를 생각할 때 수용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 ◇우려되는 파장=법정관리와 노조의 파업이 가져올 시나리오는 「최악의 연속」이다. 노조의 파업은 생산차질로 가뜩이나 힘겨운 기아의 경영상황을 악화시키며 부품업체들의 연쇄도산, 해외거래선 이탈 등으로 이어질게 뻔하다. 현재 우려되는 상황은 노조의 파업에 대한 자동차연맹 및 민노총의 동조여부다. 이들의 가세시 자칫 올해초 노동법파업이 재연될 소지도 있는 것. 이와관련, 연맹과 민노총은 『법정관리 방침이 결정되면 전면파업에 돌입한다』는 입장이어서 최악의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와 대우의 입장=현대와 대우는 ▲복수 납품업체들에 미칠 영향 ▲법정관리 대책 ▲해외거래선의 우려에 대한 설명 등으로 분주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당장의 과제는 부품업체 동향. 노조파업이 시작되면 부품업체에 직간접적 피해가 불가피하기 때문. 이에따라 두 회사는 「부품업체전담반」을 가동, 자금 및 경영상황을 수시로 점검하고 있다.<박원배·권구찬 기자>

관련기사



권구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