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으로 승부하라

16대 대선의 선거일이 꼭 보름 앞으로 다가왔다. 3일 저녁 실시된 후보자들의 TV토론을 계기로 선거전은 점차 열기를 더해가고 있다. 21세기 첫 대통령을 뽑는 선거인 만큼 국가적 비전을 제시하는 후보를 선택하고 싶은 것이 유권자들의 한결 같은 마음이다. 이 같은 바램과는 달리 이번 대선은 역대 대선 중 가장 이슈가 빈약한 선거가 되어가고 있다. 반면에 과거식 폭로ㆍ비방전과 지역감정 조장 조짐들이 나타나고 있어 우려를 갖게 된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선거전이 개시되기 훨씬 전부터 한나라당 이회창후보의 아들 병역의혹을 둘러싼 이른바 '병풍공방'으로 국민의 짜증을 한껏 돋웠다. 검찰의 수사결과 '병풍'사건은 조작된 녹음테이프로 빚어진 소동이었다. 선거전 초입에서 폭로전이 다시 전개되고 있다. 한나라당이 폭로한 국정원의 불법도청 주장이 원인이 됐다. 국가정보기관이 정치인은 물론 민간의 언론인까지 대상으로 도청을 일삼았다는 것은 충격적인 것이다. 심각한 인권침해 사태임으로 반드시 진상은 규명돼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은 사실무근의 조작이라고 주장한다. 사실규명을 위해선 제보자가 나서야 함에도 한나라당은 제보자가 현직 국정원 직원이라고만 밝힐 뿐 보호를 위해 신원을 밝힐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이 와중에 민주당에서는 도청설에 맞불을 놓기라도 하려는 듯이 97년 대선 때 이회창 후보측이 조합주택개발업자로부터 22억원을 받았다는 의혹을 부풀리고 나섰다. 한나라당은 이 사건이 터무니없는 조작이며, 폭로자가 사기 등 전과13범으로 '제2의 김대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류의 사건이 가는 방향은 거의 일정하다. 의혹만 부풀린채 진실규명이 안 된다는 것이다. 양쪽의 상반된 주장만 있을 뿐이다. 의혹을 제기하는 쪽도 '아니면 말고' 식으로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폭로전과 사촌관계인 것이 지역감정 조장인데 이미 유세장에서 나온 지역감정 조장 발언은 위험수위를 넘고 있다. 지금 우리 앞엔 국가의 운명이 걸린 정책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IMF체제는 극복되었다고 하나 157조원의 세금을 앞당겨 썼고, 그 여파가 가계부실로 인한 제2의 경제위기설로 나타나고 있다. 눈을 밖으로 돌리면 중국경제가 세계경제를 석권할 기세로 질주하고 있다. 미국의 테러전쟁 여하에 따라 한반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이 모두 정신을 바짝 차리고 대응해야 할 국가적 과제다. 3일의 첫 TV토론은 후보의 정책과 자질을 검증하는 데 유익한 기회가 됐을 것으로 보인다. 양 진영은 이번 토론을 계기로 비방 폭로전을 버리고, 정책으로 승부하는 자세를 새롭게 하길 바란다. 이번에는 과거와 다른 선거전을 보고 싶다.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