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평채 가산금리 오름세

5년만기 CDS 프리미엄도 연일 상승곡선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이 다시 점증하면서 2차 금융위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외평채 가산금리가 오름세를 타고 있다. 외평채 가산금리는 우리나라의 대외신인도를 가늠하는 잣대로 국내 은행이나 기업들이 해외에서 돈을 들여올 때 기준으로 삼는다. 15일 국제금융센터와 관계당국에 따르면 국제금융시장에서 우리나라가 발행하는 외화채권의 신용위험도를 나타내는 외평채 5년물의 스프레드(가산금리)는 지난해 10월 7.91%까지 급등했다가 지난해 말 3.40%로 떨어졌지만 최근 상승세를 타며 지난 12일 3.55%를 나타냈다. 국가 신용위험도를 나타내는 5년 만기 외평채 CDS 프리미엄도 연일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외평채 CDS 프리미엄은 1월9일 2.69%를 바닥으로 연일 상승하며 최근 3.5%대까지 치솟았다. 이처럼 금융불안이 커진 것은 전세계 경기의 동반침체가 현실화되는 가운데 ▦미국 구제금융안에 대한 실망 ▦영국과 러시아 금융위기설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불안 ▦무디스의 국내 은행에 대한 신용등급 하향 조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지난해 9월 리먼브러더스 사태 때와 같은 외부 충격으로 외화조달 여건이 급격히 악화될 경우 이른바 ‘3월 위기설’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본계 자금이 3월 말 결산을 앞두고 일시에 빠져나갈 수 있다는 3윌 위기설이 만기 규모를 볼 때 현실화할 가능성이 낮고 은행들의 잔존 만기 3개월 이내 외화부채 대비 외화자산 비율인 외화유동성 비율이 100% 수준이기 때문에 크게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는 긍정론도 힘을 얻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