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년실업자 63%가 ‘고졸 이하’

대졸 이상은 18% 차지

청년층(15∼29세) 실업자 10명 중 6명이 고졸이하 학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돼 고졸이하 청년층에 대한 실업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고졸 이하 청년층 실업 실태파악 및 정책과제'에 따르면 2004년 기준 청년층 실업자 39만2,000명 가운데 고졸 이하가 24만6,000명으로 전체의 62.8%를 차지했다. 청년층 실업자를 학력별로 세분하면 고졸이 22만5,000명(57.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 전문대졸(7만4,000명, 18.9%) ▦ 대졸 이상(7만2,000명, 18.4%) ▦ 중졸 이하(2만1,000명, 5.4%) 등이다. 실업률면에서도 고졸 이하가 전문대졸이나 대졸 이상에 비해 훨씬 높았다. 전문대졸과 대졸 이상의 실업률은 각각 6.5%와 6.4%로 6%대였으나 고졸은 8.9%, 중졸 이하(10.9%)는 10%가 넘었다. 고졸 이하의 비정규직 비율은 39.2%를 기록해 대졸 이상(31.0%)이나 전문대졸(28.7%)과 비교해 8.2∼10.5% 포인트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졸 이하는 고용의 질도 나빴다. 청년 비경제활동인구(517만2,000명)는 고졸 이하가 청년 전체의 90% 가까이 차지했다. 중졸 이하(228만명)와 고졸(230만5,000명)이 458만5,000명으로 전체의 88.7%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전문대졸은 26만9,000명(5.2%), 대졸 이상은 31만8,000명(6.1%) 수준에 그쳤다. 남재량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고졸 이하의 청년층은 임금에 대한 불만족 등으로 취업 후 일자리를 옮기는 이직률이 매우 높다"며 "일선 학교에서의 직업교육강화 등 청년실업 정책의 무게 중심을 고졸이하 등의 취약 계층으로 옮겨야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