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용부-민주노총 상시 대화채널 만든다

방하남 장관·양성윤 비대위장 합의…일자리 창출 등 의견 조율키로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민주노총을 방문한 자리에서 양측이 상시적인 대화 채널을 만들기로 합의했다. 그동안 민노총은 노동 현안을 풀기 위한 대화에 참여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진전이라는 평가다.

방 장관은 7일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사무실을 방문해 양성윤 민노총 비상대책위원장 등 간부들과 노동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민노총은 이날 간담회에 대해 "당장 해결된 것은 없지만 지속적인 노조와 정부 간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자는 데 공감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고용부 관계자도 "오늘 자리가 정부와 민주노총 간 33개월 만에 이뤄진 전격적인 만남인 데다 대화창구를 만드는 데 합의함으로써 각종 노동현안을 풀어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방 장관은 이 자리에서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서는 노동계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일자리 창출 문제 해결을 위한 노사정 대화에 민노총이 참여해줄 것을 당부했다.

방 장관은 방문 인사말에서 "새 정부의 고용정책은 그 어느 때보다 노동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민주노총이 조건 없이 대화에 참여해 사회ㆍ노동 현안들을 슬기롭게 풀어나가자"고 제안했다.


민노총은 이에 "저임금 비정규직 근로자의 열악한 현실을 외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장관의 방문을 흔쾌히 환영할 수 없다"며 "특히 최근 발표한 노사정 일자리협약은 시간제 일자리 확대에 집착해 양극화와 근로조건 악화만 불러올 것이므로 당장 폐기해야 한다"고 일단 선을 그었다.

관련기사



그러나 이어진 비공개 간담회에서 양측은 상당히 진전된 논의를 펼친 것으로 드러났다.

민노총이 이 자리에서 쌍용자동차ㆍ현대차 비정규직 등 노사관계 현안 사업장에 대한 대책이 전무하다며 장기투쟁 사업장 대표자들과 만남을 가질 것을 촉구하자 방 장관은 조만간 민주노총 산하 장기투쟁 사업장인 쌍용차ㆍ골든브릿지ㆍ현대차 대표자들과의 면담자리를 마련하겠다고 화답했다.

또 고용부는 민노총이 문제를 제기한 공무원노조 설립 허가 문제와 산재 대책에 있어서도 해결 의지가 있으며 이와 관련한 실무적 협의를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방 장관의 민주노총 사무실 방문 과정에서 공무원노조ㆍ쌍용차지부 노동자들이 입장을 가로막고 노동계 요구사항을 주장해 10분가량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간담회에 들어가서도 민주노총이 강경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자 냉랭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