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시동 건 미국 출구전략 안전벨트 단단히 매라

미국이 5년 만에 달러 유동성 공급밸브를 잠그겠다고 선언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매월 850억달러인 양적완화 규모를 내년 1월부터 750억달러로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연준은 지난 2008년 9월 리먼브러더스 붕괴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에 맞서 2009년 3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양적완화 규모를 늘려왔다.


출구전략 가동은 연준이 익히 예고한데다 근 1년간 뜸을 들여왔기에 글로벌 금융시장의 반응은 차분한 편이다. 세계 각국 증시는 되레 상승하기도 했다.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인식이 확산된 덕분이다. 하지만 서막일 뿐이다. 출구전략 가동은 몸풀기 수준에 불과하다. 미국 경기회복 속도를 본다면 테스트 수준의 출구전략이 본격 가동될 시기가 그리 먼 것도 아니다. 내년 중 돈풀기 정책을 완전 중단하고 2015년에는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5년간 유동성 파티에 익숙한 세계 경제로서는 긴축정책이 본격화하면 실물과 금융 전반에 걸쳐 몸살을 앓을 소지가 다분하다.

관련기사



물론 출구전략 가동이 우리 경제에 반드시 악재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미 경제가 부양책을 끊어도 될 만큼 순탄한 회복세를 타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 요인이다. 필요 이상으로 지레 겁먹을 것은 아니지만 출구전략의 파괴력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 1994년 1년간 기준금리를 3%포인트 끌어올리는 연준의 긴축정책에 멕시코와 브라질은 외환위기 수준의 홍역을 겪었다. 대외경제여건에 민감한 우리 경제구조를 감안하면 그런 일이 우리에게도 닥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다.

관건은 긴축정책이 본격 시작되기 전에 탄탄한 성장궤도로 진입하고 금융시장의 충격파를 최소화하는 일이다. 자본 유출입 동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안정적 환율 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필요하다면 과감하고도 선제적인 정책도 동원해야 한다. 정부는 물론 금융권과 재계에 이르기까지 각 경제주체 모두 각별한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