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무협, “한-페루 FTA, 자동차ㆍ전자제품ㆍ의약품 유망”

8월 1일 한-페루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자동차, 전자제품, 의약품 등의 수출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31일 ‘한-페루 FTA 발효와 수출확대 수혜품목’ 보고서를 통해 평균 수입관세율이 11%인 페루와의 FTA 체결로 국내 수출품의 관세 인하 효과가 클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의 대 페루 수출과 현지 수입 수요, 관세율 등을 고려해 FTA 수출 전략품목(수출액 중시)과 중소기업형 유망품목(성장성 중시)을 선정했다. 수출 전략품목으로는 중대형 자동차, TV, 일부 의약품, 인조섬유, 비디오, 카스테레오 등 관세가 즉시 또는 5년 안에 모두 철폐돼 단기간에 높은 수출증가세가 기대되는 제품들이 꼽혔다. 특히 고율의 관세가 없어지는 자동차(9%)와 전자제품(최고 17%)에서 많은 혜택이 있을 것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중소형 자동차, 부직포, 인쇄용지, 편직물, 냉장고, 엔진용 축전지 등은 관세가 10년에 걸쳐 철폐되지만 관세율이 최고 17%에 달해 중장기적으로 FTA 혜택이 기대된다. 또 볼트, 철강선, 잉크, 합성수지, 기어 등은 현재 페루 수출 실적이 미미하지만 페루의 수입 수요가 적지 않아 9~17%의 높은 관세의 철폐를 계기로 국내 중소기업의 페루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연구원 측은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실질 기준)이 7.2%로 남미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며 “경제 성장에 걸맞게 수입 시장도 연간 19.1%씩 성장하고 한국의 대 페루 수출도 꾸준히 늘어나 FTA 발효에 따른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명진호 한국무역협회 FTA통상실 연구원은“한국과 페루의 FTA가 발효돼 국내 수출기업들이 보다 유리한 여건에서 페루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발판으로 남미 최대시장인 메르코수르와의 FTA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