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부산·대전 저축銀 영업정지] 채권 투자자들은

"예금보호도 못받고…" 후순위채 투자 퇴직자등 불안 커져

'예금자는 5,000만원까지라도 보호 받지만….' 업계 선두권의 부산저축은행이 17일 영업정지를 받자 저축은행의 후순위채권에 돈을 넣었던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한층 커지고 있다. 예금고객의 경우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최대 5,000만원까지는 건질 수 있지만 채권은 이 같은 수혜를 입을 수 없다. 지난해 6월 말 현재 국내 37개 저축은행들이 발행한 후순위채는 총 9,714억원. 이들 후순위채는 당시 대부분 연 8%선 이상의 금리를 제시해 낮은 예금금리와 요동치는 주식시장에서 돈을 뺀 투자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특히 이자로 생활하는 퇴직자들의 수요가 적지 않았다는 게 저축업계 관계자들의 설명. 따라서 자신이 투자한 후순위채의 발행 기관이 문을 닫게 되면 당장의 생활비 마련에 곤란을 겪게 되는 계층이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삼화저축은행이 그 대표적인 사례. 이 저축은행은 지난 2008~2009년 200억여원대의 후순위채를 발행해 수백명의 투자자를 모았지만 막상 해당 은행이 부실로 문을 닫고 매물로 나오자 투자자들은 직격탄을 맞게 됐다. 물론 후순위채투자자들은 금융감독규정 규정상 은행 창구에서 예금자보호법 등의 적용을 받지 못한다는 내용의 안내를 받고 이를 인지했다는 서명을 한 뒤에 투자를 했다. 따라서 투자손실을 입었다고 하더라도 하소연할 데도 없어 막막한 상황. 이런 가운데 금융당국은 부실 은행의 무분별한 후순위채 발행을 제어하려고 하고 있지만 이미 기존에 발행된 채권에 돈을 묻은 투자자들에게는 '사후약방문'인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