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수합병(M&A) 사상 최대 규모로 꼽히는 대우조선해양 매각작업이 27일 인수의향서 제출을 시작으로 본격화했다.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곳은 포스코ㆍ현대중공업ㆍ한화ㆍGS그룹 등 네 곳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오는 10월 우선협상 대상자가 결정되고 연내에 본계약이 체결되면 새 주인을 맞게 된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1998년 외환위기로 대우그룹이 해체되면서 대우종합기계와 함께 공적자금이 투입된 후 2001년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을 졸업해 경영 정상화를 이뤘다. 지난해 실적은 매출 7조1,048억원에 영업이익 3,212억원, 당기순이익 3,068억원을 기록했으며 올 들어서는 매출이 10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알짜기업으로 변신했다.
이번에 매각하는 지분은 산업은행이 보유한 31.25%와 자산관리공사가 보유한 19.11% 등 50.37%다. 현재의 주가를 감안할 때 지분의 가치는 3조5,000억원 안팎이지만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할 경우 실제 인수가격은 7조~8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조선시장 점유율 6%로 3위에 랭크돼 있는 대우조선해양의 매각이 갖는 의미와 파장은 크다. 누가 새 주인이 되느냐에 따라 조선업계는 물론 재계 판도에도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할 정도의 빅딜이다. 그런 만큼 인수자 선정작업은 객관적이고 공정한 기준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
지금까지 대형 기업의 M&A가 이뤄질 때마다 특혜 시비가 끊이지 않았다. 대우조선해양 매각과정에서는 이런 잡음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기준과 함께 투명성을 확보함으로써 뒷말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번 대우조선해양 매각에는 주주인 산업은행이 심사까지 맡고 있어 자칫 특혜 시비에 휘말릴 소지도 없지 않다. 이미 한차례 주간사 선정을 놓고 논란을 빚은 적이 있는 만큼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매각금액 못지않게 국민경제적인 측면도 고려돼야 한다. 단순한 공적자금 회수 차원이 아니라 앞으로 국민경제에 더 많은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대우조선 매각이 이뤄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우조선의 발전은 물론 고용창출 효과, 국내 조선산업의 경쟁력 강화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판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