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ARS 서비스 통해 카드번호등 도용땐 소지자도 책임

신용카드 정보를 도용당해 자신도 모르게 온라인 물품구매가 이뤄졌을 경우 피해 카드 소지자는 해당 대금을 결제할 필요가 없고 책임은 카드사에 있다는 결정이 나왔다. 그러나 자동응답장치(ARS)를 통해 신용카드번호가 도용당해 손해를 봤을 때는 카드 소지지가 일부 또는 전체를 책임져야 한다.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는 26일 제3자가 타인의 신용카드번호와 비밀번호 등을 도용, ‘안심클릭서비스(8개 카드사가 시행 중인 인터넷 안전결제 시스템)’에 가입한 뒤 전자상거래를 통해 물품을 구입했다면 그 책임은 카드 소지자가 아니라 카드사에 있다고 밝혔다. 분쟁조정위는 ‘카드사가 회원이 고의 또는 중과실로 비밀번호를 유출됐음을 입증하지 못할 경우 회원에게 책임을 지울 수 없다’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제16조를 준용, 이같이 결정했다. 분쟁조정위는 또 카드사가 안심클릭서비스 가입 때 신용카드 발급에 준하는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별도의 본인확인 절차 없이 온라인을 통해 비대면으로 서비스 가입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 의무를 준수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분쟁조정위는 제3자가 타인의 신용카드번호 등을 도용, ARS를 통해 현금서비스나 카드론을 받아 돈을 가로챘을 경우 신용카드 개인회원 규약 제18조를 적용, 피해 카드 소지자도 일부 또는 전체를 책임지도록 했다. 이 규정은 거래시 입력된 비밀번호와 카드사에 신고된 비밀번호가 같음을 확인하고 조작된 내용대로 현금서비스ㆍ카드론 등 거래를 처리한 경우 카드사의 과실이 아닌 도난ㆍ분실 기타 사고로 회원에게 손해가 발생해도 책임지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