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장년층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산재 위험성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3년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55세 이상 장년층의 산업재해자 수는 3만1,816명으로 1년 전보다 9.26% 늘었다.
25세 미만 -0.40%(3,491명), 25~39세 -8.54%(1만8,857명), 40~54세 -3.46%(3만7,660명) 등 다른 연령대는 모두 산재가 줄어든 반면 55세 이상만 늘어난 것이다.
고용부는 "장년층은 근력과 같은 신체 능력이 떨어져 사고 위험이 큰데다 정년 퇴임 후 재취업해 시작한 새로운 일이 손에 익숙하지 않아 재해를 당하는 경우가 느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총 재해자 수는 9만1,824명으로 2012년 9만2,256명보다 432명이 줄었으나 재해율은 0.59%로 전년과 같은 수치를 기록했다.
산재 사망자 수는 1,929명으로 전년보다 3.5% 늘어났다. 사고로 인한 사망은 1,090명으로 3.9%가 줄었으나 질병 사망자가 839명으로 14.9% 증가했기 때문이다. 고용부는 "일을 하다가 얻은 질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사고 사망자 가운데 절반 가까이(47.3%)는 건설업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제조업은 사망자 수가 284명으로 전년보다 15.5% 감소한 반면 건설업은 지난해보다도 11.9%가 증가했다.
이는 건설 경기가 위축되면서 공기를 단축하고 안전에 대한 투자를 줄이는 경향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경향은 지난해 7월 노량진 수몰사고와 방화동 접속교량 상판 전도 사고, 삼성엔지니어링 물탱크 파열사고, 12월 SK 남북항연결도로공사 사고 등 잇딴 대형 사고로 나타나기도 했다.
사망 사고 유형은 추락이 32%로 가장 많았고 끼임(11.9%), 교통사고(8.8%), 부딪힘(7.8%) 등이 뒤를 이었다.
질병으로 인한 사망은 진폐(폐에 먼지가 쌓여 생기는 직업병)와 뇌심질환이 각각 45.2%, 41.5%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박종길 고용부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재취업한 중장년층의 산업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산재를 줄이기 위한 맞춤형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박 국장은 또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건설 재해를 줄이고 사내하도급에서 발생하는 재해를 줄이도록 원청 책임을 강화하는 쪽으로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