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강 부총리 일문일답/“회생 자신있으니 화의 신청했을것”

◎경영잘못서 비롯된 일… 김회장 책임은 당연강경식 부총리는 24일 기자간담회에서 기아그룹의 화의신청에 대해 『기아측이 추가 자금지원을 받을 수 없는 화의제도 적용을 신청한 것은 이를 통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자신들의 판단에 따른 것일테니 이에 대해 채권단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부총리는 특히 기아그룹 부도이후 협력업체의 연쇄부도를 막기 위해 별도의 지원대책을 마련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다음은 부총리와의 일문일답. ­기아그룹의 화의신청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정부가 무슨 일을 할 방법이 없다. 기업과 채권단이 정하는대로 맡겨둘 수밖에 없다. ­화의신청사실은 언제 알았나. ▲언론보도를 통해 알았다. ­김인호 청와대경제수석이 지난 23일 기아의 화의제도 적용은 어렵다는 얘기를 했는데. ▲김수석이 이 문제를 결정할 위치에 있지 않다. 청와대에서 화의신청에 대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입장을 밝힐 수 없지 않느냐. 화의신청이라는 게 법정관리와 달리 공익채권의 우선변제권이 없기 때문에 추가 자금지원을 받을 수 없고 기존 채무의 상환기일 조정만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아그룹이 추가 자금지원을 받을 수 없는 화의제도로 살아남을 수 있겠느냐는 식의 코멘트였다면 알아듣겠지만 화의신청을 받아들이느냐의 여부는 법원에서 결정하는 것이지 정부가 정하는게 아니다. ­정부와 채권단은 당초 25일께 신용평가회사의 평가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29일 부도유예협약 만료이전에 대책을 마련한다는 입장이었는데 이제 그동안 생각해왔던 처리방안은 유보되는 것인가. ▲기아그룹은 화의신청을 하면서 채권단과도 상의하지 않았다. 부도유예협약이 만료된 후 어떻게 할 것인지 얘기가 진행되는 도중에 갑자기 화의신청이 이뤄진 것이다. 앞으로 채권단이 처리할 일이다. 채권단으로서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최선의 방안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금융기관별로 입장이 많이 다를 것이다. ­화의인가 결정이 나기 힘들 것으로 본다는 뜻인가. ▲기아의 채권규모가 크고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히 처리될 일이 아니라는 원론적 얘기다. 기아 경영진들이 어떤 방식으로 기아그룹을 정상화시키겠다는 것인지 아는 바 없다. 기아측이 화의제도를 통해 살아날 수 있다는 자신이 있으니까 화의신청을 했겠지만…. ­채권단이 화의신청에 동의하지 않고 추가 자금지원을 하지 않아 기아가 회생하지 못하면 국민경제에도 엄청난 부담이 오게 되는데. ▲국민경제에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혜를 모으는 과정에서 화의가 튀어나와 이를 어떻게 봐야 할지 곤혹스러운게 사실이다. ­앞으로 금융시장 불안, 협력업체들의 연쇄부도 등이 우려되는데. ▲협력업체에 대한 대책이 따로 나올 수 없다. 기아가 부도처리돼 살기 힘들게 되면 하청업체도 살아남을 수 없는 것 아닌가. 기아가 추가 자금지원없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화의신청을 한 것 아닌가. ­기아가 정치적 도박을 했다는 시각도 있는데. ▲정치적 도박을 할 상대방이 없다. 부총리를 상대로 했다는 얘기인 모양인데 부총리는 아무런 일을 할 수단이 없다. ­기존에 발표됐던 하청업체 지원책도 자동으로 없어지는 것인가. ▲그동안 하청업체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책은 없었고 하청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어음들이 정상적으로 할인되도록 보장해 불안심리를 해소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 그정도의 지원책으로 해결될 상황이 아니라는 의미다. 정부는 모든 기업들이 정상적으로 돌아가길 바라고 기아도 예외가 아니다. 기아 스스로의 선택에 달려있는 문제다. ­김선홍 기아회장의 퇴진문제는. ▲김회장의 사표제출은 부도유예기간중 긴급자금 지원을 위한 전제조건이었던 만큼 이제 아무런 의미가 없다. 다만 기아문제는 한마디로 경영의 잘못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에 대한 책임을 묻는게 정상적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기아가 화의제도 적용을 통해 회생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부의 판단은. ▲정부는 아직 그런 판단을 하지 않았다. 기아측이 화의를 통해 살아남겠다고 선택했으니 자신들이 알아서 할 일이다.<홍콩=이세정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