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의 물결 인간게놈혁명] 3. 정부 대책과 해결과제선진국 따라잡을 절호 기회
정책·자금 전폭 지원 절실
인간게놈 연구결과가 나온 뒤 정부, 연구계, 학계의 분위기는 「좋은 기회가 왔다」는 것. DNA 염기서열 분석에 대한 국내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게놈지도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됐기 때문. 초기 투자비를 들이지 않고 앞으로 기능 유전자 연구를 추진할 수 있는 있다는 것이다.
국내 유전체연구는 이미 막대한 자금을 들여 인간게놈 분석을 완료한 미국등 선진국에 비해 연구제반에 걸쳐 기술, 인력 등 모든 면에서 크게 뒤떨어져 있다. 따라서 「한국형 게놈연구」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이병재(李柄宰)교수는『우리나라 유전체연구는 한국인에 자주 발병하는 질병과 관련된 기능유전자 발굴 등 틈색전략적인 연구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국제 경쟁력과 정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지원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인간유전체 기능 연구사업단 유향숙(兪香淑·사진)단장도 『인간게놈지도의 완성으로 국내에서도 기능유전자 연구가 본격화될 것』이라며 『국내에서 많이 발생하는 간암·위암등 큰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세포내 기능을 밝히는 연구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생명공학 산업 육성방안=정부는 지난 94년 정부로서는 드믄 장기과제를 발표했다. 2007년까지 14년동안 3단계에 걸쳐 생명공학 산업을 육성한다는 것. 지금은 2단계 계획을 추진하는 중이다. 총투자비 16조310억원이 투입되는 이 프로젝트는 과학기술부를 비롯해 교육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7개부처에서 공동으로 추진되고 있다. 2단계인 2002년까지 투자되는 자금은 모두 1조1,893억원이다.
게놈연구 발표이후 정부의 지원방안도 속속 나오고 있다. 그 가운데 주목을 끄는 것은 산업자원부가 마련한 생물산업 기술개발 5개년계획. 생물산업 지원업무를 맡을 「생물 산업원」 설립을 추진하고, 전국 5개 지역 생물산업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비용 300억원을 내년 예산에 반영한다는 것. 특히 산자부는 농림부, 환경부, 과학기술부 등 각 부처에 흩어져 있는 바이오 산업조직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나가기로 했다.
과기부는 지난해 12월「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을 「21세기 프론티어 사업」의 하나로 선정했다. 이사업에 앞으로 10년간 연평균 130억원의 연구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를 수행하는 조직이 「인간유전체 연구사업단」(단장 유향숙). 사업단은 게놈분석 결과를 이용한 신유전자기술 사업에 주력하기로 했다.
◇정부의 지원대책 시급하다=지난해 정부는 생명공학 분야에 1,608억원을 투자했다. 98년에 비해 43%가 늘었지만 이는 미국 대기업 1개 수준에 불과한 금액. 업계와 학계는 이런 상황에서 국내 생명공학 산업의 나아갈길은 공동연구와 함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라고 말한다.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 김규돈(金圭敦)사업개발팀장은 『해외 연구그룹, 기업의 유전자 정보를 짧은 시간안에 확보하는게 중요하다』며 『해외 생명공학벤처와 제휴를 위한 대규모 펀딩 등 정부지원이 아쉽다』고 말했다.
연구계도 『적은 연구비와 시약 등 연구재료를 대부분 수입해 재원확보가 필요하다』며 『적정한 연구비 책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생명공학벤처에 대한 투기성 투자를 막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산업화·실용화가 가능한 벤처에 선별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등 부족한 연구인력 충원을 위해 교육부 등 관련부처를 중심으로 연구인력의 양성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와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와 협동과정 프로그램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협동과정은 전공이 다른 연구원들이 하나의 주제를 공동연구해 연구결과에 대한 시너지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박현욱기자 HWPARK@SED.CO.KR입력시간 2000/06/28 16:55
◀ 이전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