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보건노조 총파업 내주로 미뤄

노사 상당부분 의견접근…28일까지 협상 연장

보건의료노조의 총파업이 다음주로 연기됐다. 보건의료 노사는 23일 서울 마포구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임금인상안 등을 놓고 협상을 진행한 결과 상당한 의견 접근이 이뤄지자 오는 28일까지 협상을 연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보건의료노조는 당초 이날 오전7시부터 들어가기로 했던 총파업을 다음주로 미뤘다. 중노위의 최종 조정회의는 28일 오후2시에 속개된다. 노사는 22일 오후2시부터 중노위 공익위원이 참가한 가운데 조정회의를 진행, 노조가 제시한 산별 중앙교섭 요구안을 놓고 이날 오후까지 마라톤 협상을 벌였다. 양측은 이날 오전5시와 6시, 정오와 오후2시, 6시까지로 다섯 차례나 협상 시한을 연장하는 등 진통을 겪었다. 병원 노사는 노조 요구안 86개 가운데 74개 조항에 대해 의견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의 최대 쟁점인 임금인상폭의 경우 당초 10.2% 인상을 주장했던 노조 측은 5%대 인상으로 물러섰고 사측도 동결 입장에서 4%대 인상안을 제시, 추가 협상을 통한 타결의 여지를 남겼다. 하지만 의료민영화 정책 폐기, 미국산 쇠고기 병원급식 금지, 인력확충 및 교대제 개선,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와 차별 시정, 산별 연대기금 확보 등 핵심사항 12개는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보건의료 노사는 지난해까지 매년 산별 협약을 체결하는 등 다른 업종에 비해 비교적 산별체제가 정착돼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올 들어 산별교섭이 파행을 겪으면서 총파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졌었다. 하지만 사용자 측이 막판 대화를 통한 해결 의지를 보이고 중노위가 적극 중재에 나서면서 일단 파국을 피했다. 노조도 파업 돌입 시점을 앞두고 지방노동위원회가 응급실ㆍ중환자실ㆍ신생아실 등의 필수유지업무 범위를 넓게 정해 파업 동력과 효과가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자 협상을 통한 타결 쪽으로 급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