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2017년 달탐사 위성개발 착수

과기부 '우주개발사업 세부실천 로드맵' 마련


우리나라가 오는 2017년에는 300톤급 발사체를 자력으로 발사하고 달 탐사 위성 개발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또 2020년에는 달 탐사 궤도위성을, 2025년에는 달 탐사 착륙선을 각각 쏘아올리며 우주강국의 반열에 진입하게 된다. 과학기술부는 20일 제4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우주 개발사업 세부실천 로드맵’을 심의ㆍ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6월 수립된 ‘우주개발 진흥기본계획’의 후속 조치로 인공위성과 발사체ㆍ우주탐사ㆍ위성활용 등 4가지 부문의 세부 목표와 추진일정, 기술확보 전략 등 10년 이상 장기 청사진을 담고 있다. 인공위성의 경우 저궤도 실용위성은 개발기술을 2020년까지 완전 자립시킬 계획이다. 2012년까지는 시스템기술, 2016년까지 본체기술을 각각 자립화하고 광학탑재체(EO) 실용위성은 2016년까지, 합성영상레이더(SAR) 실용위성은 2020년까지 기술 자립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소형위성은 내년과 2010년에 과학기술위성 2ㆍ3호를 각각 발사한 뒤 3~4년 주기로 100㎏급 마이크로위성을 발사하게 된다. 또 해마다 2기 내외의 1~10㎏급 나노 및 피코위성을 개발할 예정이다. 정지궤도 복합위성은 2016년까지 독자 개발능력을 구축하고 2022년에는 독자모델을 개발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장기 플랜이다. 발사체는 내년에 170톤급 소형위성발사체(KSLV-Ⅰ)를 발사하고 2017년까지 300톤급 한국형 발사체를 자력으로 개발하게 된다. 이 한국형 발사체를 기초로 2026년에는 우주탐사용 위성발사가 가능한 우주운송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장기적인 목표다. 우주탐사는 중장기 추진 분야로 2017년 달탐사위성(궤도선) 1호 개발에 착수해 2020년에 발사, 2021년에는 달탐사위성(착륙선) 2호 개발을 시작해 2025년에는 쏘아올린다는 계획이다. 위성영상활용은 위성정보 활용전담기구를 주축으로 수요자 중심의 활용기술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위성항법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면서 보강 시스템 기술을 고도화할 것이라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과기부는 “앞으로 각 연도별 세부 시행계획을 통해 로드맵을 구체화해 추진할 것”이라며 “우주개발사업의 산업화를 위해 실용위성 개발은 시스템이 자립화되는 2016년부터, 발사체 개발은 한국형 발사체가 자립화되는 2017년부터 각각 산업체가 주관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