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김재록과 윤상림

거물 법조 브로커 윤상림 사건으로 온 나라가 떠들썩하더니 이번에는 이른바 ‘금융계 마당발’ 김재록씨의 정관계 로비 의혹 때문에 시끄럽다. 윤씨나 김씨는 특유의 친화력으로 각계 고위층 인사와 두터운 친분관계를 유지하며 각종 이권에 개입했다는 점에서 닮은꼴이다. 윤씨는 장군ㆍ검사장ㆍ경찰청장 등 군ㆍ검ㆍ경 인사를 상대했고 김씨는 재정경제부ㆍ금감위ㆍ시중은행 고위층과 호형호제(呼兄呼弟)했다는 게 다를 뿐이다. 이들 두 브로커의 구속으로 억울한 혐의를 받고 있는 고위 인사들은 극소수 미꾸라지 때문에 도매금 취급당한다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대다수 국민 입장에서는 대형 형사사건, 기업 인수합병 등 거대 딜에서 벌어지는 지도층의 흑막거래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는 것 또한 현실이다. 지도층은 이들 두 사람에게 돌팔매질만 할 게 아니라 자신들을 돌아보는 거울로 삼아야 할 것이다. 김씨가 부회장으로 있었던 컨설팅 회사 아서앤더슨 한국지사에는 전 대통령의 친척, 현 부총리의 아들 등 고위관료의 아들딸들이 무더기로 근무했고 윤씨는 전 총리를 비롯해 현직 부장판사ㆍ부장검사들과 자연스레 골프를 쳤다. 물론 앤더슨에 근무했다고, 골프를 쳤다고 죄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고도의 도덕성이 요구되는 이들 고위 인사들의 부적절한 처신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두 사람의 로비 대상이 되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억울하다고 항변한다. 김씨가 구속된 수백억원 규모의 대출알선 수재사건의 대출을 담당했던 우리은행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대출이 이뤄졌다고 항변하고 있다. 또 윤씨가 다리를 놓아준 형사사건을 맡아 수억원을 챙긴 검사장 출신 변호사는 결백을 주장한다. 의혹만 커져가고 책임지는 이는 아무도 없다. 지난 90년대 말 무이자로 개인대출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자 자살로 생을 마감한 프랑스 총리가 언뜻 생각난다. 우리 국민은 평등의식이 너무 강해 권력자와 부자를 시기하는 뿌리 깊은 습관이 있다는 얘기가 있다. 이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보고 배울 지도층이 없는 데 연유하는 게 아닐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