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두산중 가스터빈 원천기술 눈앞서 놓쳤다

伊 안살도 인수 현지 보호주의 기류에 밀려 막판 불발<br>향후 재매각땐 협상 1순위에 선정… 아직 기회는 남아


두산중공업이 발전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했던 이탈리아 발전업체 안살도에네르기아 인수전이 일단 불발됐다. 국영기업의 해외매각을 반대하는 현지 보호주의 기류에 가로막혀 다 잡은 고기를 놓친 것이다. 두산중공업은 최근 1년여간 복합 화력발전소나 항공기 제트엔진에 들어가는 가스터빈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안살도 인수에 공을 들여왔으며 최근 최종 인수를 눈앞에 두고 있었다.

6일 현지 언론과 두산그룹에 따르면 안살도의 최대주주인 이탈리아 국영기업 핀메카니카는 4일(현지시간) 이사회를 열어 안살도 지분 84.55%를 이탈리아 국영은행인 카사데포지티(CDP)에 7억7,700만유로(한화 약 1조1,331억원)에 매각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CDP는 우리나라의 자산관리공사와 비슷한 성격의 기구다.

앞서 이탈리아 국영 군수업체인 핀메카니카는 부채비율 축소 등 재무개선과 현재 진행 중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현금확보 차원에서 안살도 지분매각을 추진해왔다.


두산중공업은 그동안 핀메카니카와 안살도 지분 55% 인수를 놓고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어왔다. 하지만 현지 여론이 급격히 변하면서 판세가 뒤집어졌다. 두산중공업의 인수설로 굳어지자 이탈리아 현지에서 기술력 있는 국영기업을 해외에 매각하는 데 대한 반대론이 확산된 것이다. 안살도 노조와 정치권에서도 반대 목소리를 냈다. 결국 현지 국유은행에 안살도 지분을 매각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관련기사



두산중공업의 인수시도는 좌절됐으나 향후 회사 재매각시 인수협상 1순위 업체로 선정돼 기회를 완전히 잃은 것은 아니다.

CDP는 펀드인 FSI(Fondo Strategico Italiano)를 통해 안살도를 인수했으며 향후 재매각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메카니카와 CDP는 안살도 재매각시 두산중공업이 1순위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을 매각조건에 첨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