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실질 국민소득 증가율 IMF이후 최저

1분기 교역조건 악화로 무역손실 확대, 0.5% 증가 그쳐


지난 1ㆍ4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의 증가율이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원화환율은 하락하고 국제유가는 큰 폭으로 오르는 등 교역조건이 사상 최악의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소득누수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1ㆍ4분기 국민소득 잠정추계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은 155조1,452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0.5%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중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2.7%)에 못 미치는 규모다. GNI 증가율이 GDP 성장률보다 크게 낮은 것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수입단가가 크게 올라 교역조건이 악화됨에 따라 실질무역손실 규모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1ㆍ4분기 중 실질무역손실 규모는 10조756억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박진욱 한은 국민소득팀 차장은 “국민소득 증가율이 크게 하락한 것은 1ㆍ4분기 중 원ㆍ달러 환율이 12.7% 떨어지면서 기업의 영업이익이 축소되고 원유가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올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다 외국인 주식배당금의 국외지급액이 1ㆍ4분기 중 사상최대치를 기록한 것도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1ㆍ4분기 총저축률은 소비심리 위축으로 전년동기보다 1.1%포인트 떨어진 30.0%를 기록, 지난해 1ㆍ4분기 이래 계속돼온 30%대를 유지했다. 총저축률이 소폭 하락한 것은 국민이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의 증가율(3.3%)이 최종소비지출 증가율(4.9%)을 밑돌았기 때문이다. 경제주체들이 예상보다 경기회복세가 부진하자 소득증가분만큼 지출을 늘리지 않은 셈이다. 국내총투자율은 설비투자 등 고정투자의 부진으로 전년동기(26.7%)보다 1.0%포인트 하락한 25.7%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