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통합신당 경선 결산

불법공방 등으로 '흥행 저조'… 휴대폰투표는 높은 관심 '성과'

대통합민주신당 대선후보 경선이 14일 8개 지역 동시투표와 15일 후보지명대회를 끝으로 한달 만에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정치권에서는 신당이 불과 창당 한달여 만에 대선후보 경선에 착수, 경선을 완수한 것만으로도 일단 성과로 인정하는 목소리가 적지않다. 하지만 당ㆍ후보 지지율이 저조한 상황에서 경선 바람몰이 역할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우선 신당의 이번 경선은 조직ㆍ동원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대리접수, 유령 선거인단, 박스떼기, 차떼기 등의 용어가 각 캠프에서 빗발치게 제기됐고 급기야 경선 파행과 후보 사무실 압수수색 사태까지 벌어졌다. 여기에 신당 지도부의 경선관리 미숙도 보태졌다. 지도부는 경선 도중 불법선거 논란이 불거지자 초기 대응에 실패해 경선룰이 누더기가 됐고 각 캠프는 편파성 의혹도 제기했다. 선거인단 접수 초기에 대리접수 가능성을 파악, 보완책을 강구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또 예비경선에서 표 계산을 잘못해 득표 순위가 뒤바뀌는 웃지 못할 사태도 벌어졌다. 다만 신당이 국내 선거 사상 처음 도입한 휴대폰 투표는 경선을 그나마 흥행시키는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전국 각 지역별 누적투표율은 20% 안팎에 불과했지만 휴대폰 투표율은 70%를 넘어서 경선 전반에 높은 관심과 긴장을 불어넣었다. 물론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대리투표 가능성이 상존, 조직선거 의혹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점과 헌법상 비밀투표원칙에 어긋날 소지가 있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