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배드뱅크 "信不者 연락 좀 주세요"

3명중 2명 연락안돼 다음달 20일 지나면 명예회복 길 사라져

신용불량자들과의 ‘연락 두절’이 시한이 채 1개월도 남지 않은 배드뱅크의 최대 난제로 떠오르고 있다. 23일 재정경제부와 한마음금융에 따르면 배드뱅크 출범 이후 지금까지 연락이 된 신용불량자는 전체 배드뱅크 대상자 중 대부제외자를 제외한 111만명 가운데 33%인 36만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마음금융측은 “배드뱅크 대상자의 주소지를 파악해 안내장을 보내고 전화와 e메일ㆍ문자메시지 등 가능한 방법을 총동원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연락이 되지 않는 신용불량자가 67%나 된다”고 말했다. 신용불량자들은 채권추심을 피하기 위해 가족과 떨어져 친척이나 친구집ㆍ독서실ㆍ막노동판 등을 전전하면서 스스로를 사회와 격리하는 바람에 통상적인 방식의 연락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한마음금융측은 설명했다. 연락이 닿는 배드뱅크 대상자도 대부(채무조정) 성공률은 30% 정도라는 점을 감안할 때 배드뱅크 시한인 다음달 20일까지 신용불량자의 굴레를 벗는 사람은 10만8,000명을 넘지 못할 전망이다. 한마음금융은 배드뱅크 대상자들과의 연락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금융기관 다중채무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의 버스노선을 택해 대대적인 광고를 내고 행정자치부의 도움을 얻어 주소지 변경 여부 확인도 집중적으로 하고 있다. 이밖에 안내장 재발송, 전화ㆍe메일ㆍ문자메시지 등을 통한 접근, 신문광고, 친구ㆍ친지를 통한 설득 등 가능한 방법을 총동원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