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민ㆍ나라 팽개친 탄핵정국

노무현 대통령의 특별기자회견과 노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의결이 겹친 11일. 여의도 정가는 준전시상태나 마찬가지였다. 열린 우리당 의원들이 며칠전부터 저지조까지 편성해 가며 철야 농성을 계속하고 있는 국회는 출입이 엄격하게 통제됐고 길거리에서는 전경들의 삼엄한 경계망이 펼쳐졌다. 국회안에서는 여야가 일촉즉발의 대치국면이 지속됐다. 폭풍전야. 국민들은 노 대통령이 과연 무슨 말을 쏟아낼 지와 헌정사상 초유의 탄핵이 현실화될 지의 여부를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지켜봐야 했다. 여기에는 17대 총선과 탄핵정국이 맞물려 있는 예민한 시점에서 노 대통령의 입과 국회의 결정에 따라 국운이 좌우될 수도 있을 것이란 위기감이 크게 작용했을 게 분명하다. 이 때문에 국민들은 노 대통령이나 여야 가운데 누가 양보하던 지, 어떤 절차를 밟던 지 일이 잘 되기만을 고대했다. 그러나 오전 노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시작되면서 이런 기대는 무너졌다. 노 대통령은 특유의 승부사 기질을 숨기지 않았다. 노대통령은 “총선에서 나타난 국민들의 뜻을 심판으로 받아들이고 그 결과에 상응하는 정치적 결단을 하겠다”며 그동안 미뤘던 재신임을 총선과 연계하겠다는 뜻을 천명했다. 기대하던 사과의 말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노 대통령의 이 언급은 탄핵정국과 맞물리면서 정치, 사회적으로 큰 파문을 몰고 올 게 분명하다. 여야는 노 대통령의 말이 총선에 미칠 이해득실을 따지기에 분주한 모습이었다. 야당은 노 대통령의 승부수를 또 다른 탄핵사유라며 분노했고, 열린우리당은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를 다지며 탄핵안 결사저지의 의지를 불살랐다. 우리당내에서는 노 대통령의 승부수로 인해 정동영 의장의 총선 카드인 `개혁대 반개혁`구도를 무너뜨리고 `친노대 반노`로 전환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흘러나왔다. 정치인들은 언제나 이모양이다. 자신들의 이해득실만이 관심사다. 노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그러면서도 구국의 항변을 늘어놓지만 국민들의 고단함을 생각하는 배려는 털끝만큼도 없다.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박동석 기자 <경제부> everest@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