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해외수주 텃밭 위축…목표하향 불가피

중동 대형 플랜트 취소 사태 현실화<br>올들어 공사 건수 77건 그쳐 11%나 급감<br>국내업체 친미성향 국가에 집중 그나마 다행



최근 사우디아라비아ㆍ오만 등 중동 지역의 대규모 플랜트 프로젝트가 잇따라 취소 연기되고 있는 것은 한국 해외건설의 텃밭인 중동 시장 위축이 우려가 아닌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는 경고로 풀이된다. 중동 지역 플랜트 사업, 특히 발전소의 경우 미국ㆍ유럽 기업의 자본참여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잇따른 사업 포기는 그만큼 중동 사태가 가져온 사업 리스크를 생각보다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곧 한국 건설업체들의 수주 물량 급감으로 직결될 수밖에 없는 사안이다. 아직 1ㆍ4분기가 채 지나지 않았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발주가 취소되는 등 해외사업에 악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국내 업체들의 해외수주가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등 친미 성향의 정세가 비교적 안정적인 국가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추진됐던 대형 발전소 프로젝트가 잇따라 취소되는 등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업체들의 해외수주는 연초부터 이상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해외수주 계약금액은 75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276억달러와 비교할 때 73%가 줄었다. 지난해 실적에는 UAE 원전 공사 186억달러가 포함된 금액이지만 이를 제외하더라도 지난해보다 출발이 좋지 않은 게 사실이다. 공사 건수의 경우 지난해 87건에서 올해는 77건으로 11%가 줄어들었다. 특히 중동의 정정불안이 장기화될 경우 이 지역의 수주가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여 해외건설 수주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중동은 지난해 전체 수주금액 716억달러 중 66%인 472억달러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해외 수주의 텃밭인 중동에서 수주가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올해 수주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 해외건설 수주는 지난 2005년 109억달러에 그쳤지만 2007년 398억달러, 2008년 476억달러, 2009년 491억달러, 2010년 716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기록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해외건설협회가 추정한 올해 목표는 800억달러지만 최근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수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국토해양부의 한 관계자는 "수주 실적은 정부의 권한을 넘어선 영역"이라면서도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목표치가 하향 조정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사업이 잇따라 취소된 민자 발전소 건설 및 운영사업(IPPㆍIndependent Power Producer)은 단순 도급으로 시공만 하는 해외 수주와 달리 자금조달 및 지속적인 운영이 중요한 사업방식이다. IPP는 민간자본으로 발전소를 건설하고 최소 15~20년 동안 발전소를 운영하며 국영전력회사에 전력을 판매, 투자자금을 회수하고 수익을 창출한다. 따라서 사업초기의 계획, 사업구조, 수요처와 장기공급계약 등에 있어 불확실성 해소가 관건이다. 자금을 대려는 금융기관이나 기업 입장에서는 현지 국가에서 정정불안 등 사업 리스크가 지속되면 사업을 접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자금 회수가 관건인 사업에서 불확실성은 최대의 리스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