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G카드 추가지원 줄다리기 “시장볼모 대치” 비난

LG카드 사태가 채권단과 LG그룹간 추가 유동성 지원문제로 막판 진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LG카드가 8일 오후부터 또다시 현금서비스를 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LG카드의 현금서비스 중단은 지난해 11월21~22일에 이어 두번째로, 채권단협의가 원만히 풀리지 않을 경우 이 같은 파행은 좀체 풀리지 않을 전망이다. LG카드의 서비스중단으로 여러 개의 신용카드로 `돌려막기`를 하는 사람들은 연쇄적으로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등 `LG카드발(發) 금융혼란`이 증폭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채권단, LG그룹이 금융시장과 고객을 `볼모`로 무모한 대치를 벌이고 있다는 비난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LG카드 사태의 해결을 위해 LG그룹에 앞으로 1년내에 유동성 문제가 재발할 경우 필요한 자금의 75%를 부담하도록 요구했으나 LG는 `더 이상 지원은 곤란하다`는 입장이어서 LG사태는 혼미를 거듭하고 있다. 한편 LG카드는 고객들의 현금서비스 수요에 응하기 위해 개설해 놓은 각 은행의 계좌잔고가 바닥을 드러내면서 7일 오후1시55분 농협과 우체국을 시작으로 우리와 하나, 신한, 외환은행, 새마을금고 등에서 잇따라 현금서비스를 중단했다. LG카드는 시중은행 중 국민ㆍ조흥은행과는 현금서비스 계약을 맺지 않아 사실상 대부분의 은행에서 현금서비스가 중단됐다. 사태가 이처럼 심각해지자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LG그룹이 LG카드에 대한 추가 유동성 지원에 나서지 않을 경우 LG카드의 부도가 불가피하다며 그룹측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김진표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이날 “LG그룹이 LG카드의 대주주로서 채권자들이 손실을 부담하는 만큼의 책임은 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채권단 관계자도 “LG그룹이 8,000억원의 기존 유동성 지원분 외에 추가로 5,000억원 가량을 부담해야 한다”며 “LG측이 아직까지는 완강하게 버티고 있지만 시장안정을 위해 결국은 이를 수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희망했다. 채권단은 LG그룹의 추가 유동성 지원문제가 해결돼야 만 채권금융기관간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